QLC 관련주 TOP7 대장주 QLC낸드

QLC 관련주가 AI향 QLC 관련 수요 급증으로 시장규모 85% 성장이 예상되며 관심받고 있습니다. 특히 AI 서버시장에서 압도적 경쟁 우위를 가지고 있는 기업들은 뭐가 있는지 살펴보겠습니다.

QLC 관련주로 거론되는 종목들은 삼화전기, 샘씨엔에스 외에도 SK하이닉스와 삼성전자가 시장을 주도할 것으로 예상되고 있습니다. QLC 대장주와 함께 관련 종목 살펴보겠습니다.

ESS-관련주-배너
온디바이스ai-관련주-배너
cxl관련주-배너

QLC 관련 수요 급증 전망

  1. QLC 낸드란?
    현재 낸드 시장에서 사용되는 TLC 대비 더 많은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습니다. 동일한 단위 면적에서 더 많은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어 용량을 크게 증가시킬 수 있습니다.
  2. QLC 낸드 활용 분야는?
    QLC 낸드는 TLC보다 우수한 성능으로 데이터센터와 AI 서버의 고용량 스토리지 엔터프라이즈 SSD(eSSD) 수요 증가에 부응하며, 효율적인 데이터 저장과 소비전력 절감을 가능하게 합니다.
  3. QLC 관련주가 주목받는 이유는?
    AI와 데이터센터의 성장으로 고용량 및 고성능 스토리지 수요가 급증하고 있는 실정입니다. 이러한 상황으로 QLC 낸드가 탑재된 SSD 수요 증가로 이어져 관련 종목들의 주가 상승에 눈여겨 볼만 한데요. 고용량 데이터 저장이 가능한 QLC 낸드에 시장의 이목이 쏠리는 것으로 보입니다.

1. 삼화전기 (QLC 관련주)

동사는 콘덴서 전문 기업으로, 전해콘덴서, 전기이중층콘덴서 등의 다양한 콘덴서를 제조 및 판매하고 있습니다.

qlc-관련주-유튜브1

주요제품

  • eSSD용 S-cap
    • AI 서버 시장 증가와 더불어 지속 성장 예상
    • 생성형 AI 기술 고도화, AI 서버 수요 강세, HDD 대체 등으로 인해 고용량 eSSD 채용 확대
    • 최근 AI 데이터센터 폭증으로 인해 AI 서버 핵심 요소인 전력 효율성 부각, QLC eSSD 수요 증가
    • 삼화전기, S-cap 생산 전년도 340만 개에서 올해 450만 개로 확대
    • 델, HP 등 AI 서버 구축 고객사 다변화, eSSD용 S-cap 매출 지속 증가 예상
  • 전장용 하이브리드캡
    • 일본 업체 과점 시장에서 국산화 및 2025년부터 글로벌 티어1 업체 확보를 통해 높은 실적 성장세 및 이익률 확보 가능
    • 전장용 수요 증가, 시장 규모 2025년 약 1820억원 전망
    • 삼화전기, 2026년까지 생산 캐파 지속 확대 계획, 특히 하이브리드캡 생산 능력 크게 증가 예상

실적

2023년 연간 실적은 부진했으나, 2024년에는 반등을 이룰 것으로 예상됩니다. 2023년 매출액은 2024억 원, 영업이익은 78억 원으로 전년 대비 감소했으나, 2024년에는 매출액 2603억 원, 영업이익 307억 원을 기록할 것으로 전망되고 있습니다.

매출액영업이익당기순이익
2022년2391억136억107억
2023년2024억78억58억
2024년(예상)2603억307억

삼화전기가 QLC 관련주인 이유는?

삼화전기는 S-cap을 생산하고 있어 QLC 관련주에 편입되었습니다.

S-cap은 정전 시에도 전력을 유지하도록 돕는 고성능 콘덴서인데요. QLC SSD는 데이터 저장 과정에서 전력 공급이 끊어지면 데이터 손상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이때 S-cap이 안정적인 전력을 공급하며 데이터 손상방지와 안정적인 작동을 보장할 수 있어 중요성이 부각된 것으로 보입니다.

삼화전기 주가

QLC-관련주-삼화전기-주가

삼화전기 주가는 78,400원에 형성되어 있습니다.

현대차증권은 삼화전기의 고성장세와 이익률 증가 전망에 따라 삼화전기의 투자의견을 ‘매수’로 유지하며, 목표 주가를 10만 원으로 설정했습니다

최근 주가 추이 살펴보면 1년간 274.22% 상승, 6개월간 350.06% 상승, 3개월간 155.37% 상승했습니다.


2. SK하이닉스 (QLC 대장주)

동사는 D램과 낸드플래시 메모리 반도체를 생산하는 세계적인 반도체 기업입니다.

qlc-관련주-유튜브2

SK하이닉스의 솔리다임 QLC 성장동력

  • QLC 기술력 : 2021년 인텔 낸드 플래시 사업부 인수 후 솔리다임 설립
    • 전체 eSSD 생산량의 90% 이상이 QLC 제품
    • 2023년 5월, 기존 대비 저장 밀도 1.5배 높이고 에너지 비용 18% 절감한 QLC eSSD 제품 ‘D5-P5430’ 출시
    • 최근 데이터센터 고객사의 QLC 기반 60TB eSSD 품질 시험 통과
    • 고용량에 유리한 QLC 방식 낸드 출하 증대 통해 수익성 개선 추진
  • 시장 점유율 : SK하이닉스, 솔리다임 인수 후 QLC 낸드 시장 점유율 크게 증가 (IDC 예상)
    • 2023년: SK하이닉스(솔리다임 포함) 13%, 마이크론 25%
    • 2024년: SK하이닉스(솔리다임 포함) 23%, 마이크론 29%

SK하이닉스가 QLC 대장주인 이유는?

SK하이닉스는 QLC의 선두적인 위치에 있는 솔리다임을 자회사로 두고 있어 QLC 대장주로 기대되고 있습니다.

SK하이닉스는 솔리다임을 통해 적극적인 QLC 낸드 사업 확장으로 성장세를 이어갈 것으로 예상되고 있습니다.

SK하이닉스 주가

QLC-대장주-SK하이닉스-주가

SK하이닉스 주가는 236,500원까지 올라와 있습니다.

1년간 106.91%의 주가상승률을 기록했습니다.

최근 상승세가 다소 완만해진 모습인데요, 25만 원 선 돌파 시 상승세가 가속화될 수 있습니다.

주요지표는 업종PER 88.56배, PBR 3.09배, 외보율 56.14%입니다.


3. 삼성전자 (QLC 낸드 대장주)

삼성전자는 반도체, 스마트폰, TV, 가전제품 등을 생산하는 대한민국 최대의 전자기업입니다.

qlc-관련주-유튜브3

삼성전자 QLC 개발 동향

9세대 V낸드QLC 기반 초고층 3D 낸드플래시 개발
CXL 인프라 구축글로벌 오픈소스 솔루션 기업 ‘레드햇’ 인증 획득한 인프라 구축
차세대 응용 제품 확대온디바이스AI, 오토용 제품, 엣지 디바이스 등 포트폴리오 강화

삼성전자는 280단~290단대 3D 낸드플래시를 양산하며 업계 최고층 제품을 출시했습니다. 올해 하반기에는 QLC 구조의 초고층 3D 낸드플래시를 추가로 선보일 계획입니다.

AI 서버용 제품을 중심으로 포트폴리오를 강화하고 있으며, 중장기적으로 온디바이스AI, 엣지 디바이스 등 차세대 응용 제품 포트폴리오를 확대해 나갈 계획으로 알려졌습니다.

삼성전자는 AI 열풍으로 인한 수요 증가에 따라 기업용 낸드 가격을 인상했으며, 하반기에도 추가 인상 가능성이 제기되고 있습니다.

삼성전자 SSD 시장점유율

삼성전자40%
솔리다임32%

삼성전자는 엔터프라이즈 SSD 부문에서 40% 이상의 점유율을 기록하고 있으며, 솔리다임은 32%의 점유율을 달성했습니다.

삼성전자 주가

QLC-낸드-대장주-삼성전자-주가

삼성전자 주가는 81,500원대에 거래되고 있습니다.

주요 투자지표는 EPS 2,131원, PER 38.25배, 업종PER 88.56배, PBR 1.57배, 배당수익률 1.77%입니다.

52주 최고가는 86,000원, 최저가는 65,800원입니다.


4. 샘씨엔에스 (QLC 관련주)

동사는 반도체 제조 공정의 마지막 단계인 웨이퍼 레벨 테스트에 사용되는 핵심 부품인 STF(Space Transformer)를 제조 및 공급하고 있습니다.

qlc-관련주-유튜브4

D램 및 HBM 관련 매출 성장

샘씨엔에스는 D램 및 HBM 분야에서 두드러진 성장을 보여주고 있습니다.

특히 마이크론과의 협력으로 HBM3용 프로브카드 세라믹 STF 공급에 성공하며 매출이 크게 증가했습니다.

분류2023년 매출 비중2024년 예상 매출 비중
D램5%20%
HBM10%30%
NAND85%50%

테크노프로브는 D램 사업을 다각화하면서 샘씨엔에스의 세라믹 STF를 채택한 바 있습니다.

신제품 개발 현황

신제품으로 LTCC(Low Temperature Co-fired Ceramic) 기술을 활용한 세라믹 STF를 개발 중이며, 이는 기존 유리 기판 대비 두께를 줄이고 대면적 구현이 가능하여 반도체 생산 효율을 높일 수 있습니다.

양산은 2024년 말 또는 2025년 초 출시될 예정으로 알려졌습니다.

LTCC고집적화 가능, 낮은 내부 전극 저항 및 유전율

샘씨엔에스가 QLC 관련주에 포함된 이유

샘씨엔에스의 주요 제품인 STF는 QLC 낸드에 활용될 가능성이 부각되며 QLC 관련주에 포함되었습니다.

QLC 낸드는 TLC 대비 더 많은 데이터를 저장하기 때문에 셀 간 간섭현상이 빈번한데요. 이때 STF가 이러한 간섭 현상을 최소화 하며 안정적인 작동을 보장하기 때문입다.

샘씨엔에스 주가

QLC-관련주-샘씨엔에스-주가

샘씨엔에스 주가는 7,310원으로 현재 하락세를 보이고 있지만 하락세 정도는 완화된 모습입니다.

52주 변동폭은 4,585원~9,280원 사이입니다.


5. 티엘비 (QLC 관련주)

티엘비는 메모리모듈, SSD, IoT PCB 등을 생산하는 인쇄회로기판 전문업체입니다.

주요 고객사

티엘비는 SK하이닉스의 서버용 초고속 MCR DIMM 개발에 단독으로 참여했으며, 삼성전자와 함께 CXL 2.0을 지원하는 D램 양산을 준비 중입니다.

또한, 국내 메모리 반도체 시장에서 SSD 기판 점유율 1위를 차지하고 있습니다.

AI 서버향 SSD 모듈 PCB

  • 고층수 SSD 모듈 PCB : 기존보다 고층수인 AI 서버향 SSD 모듈 PCB 퀄리티를 통과하여 단독 공급 준비중
  • CXL 제품 양산 : CXL 제품 양산 준비가 차질 없이 진행 중이며, 경쟁사들과 1년 이상의 기술적 격차 확보

SK하이닉스와의 협력

SK하이닉스의 서버용 초고속 MCR DIMM 개발에 단독 참여하였으며, MCR DIMM 양산이 본격화되면 과거보다 평균판매단가(ASP)가 상승할 것으로 예상됩니다.

티엘비가 QLC 관련주로 주목받는 이유

티엘비는 티엘비는 SK하이닉스의 MCR DIMM 단독 개발 이력과 AI 서버용 고사양 e-SSD도 단독 공급 소식이 부각되며 QLC 관련주로 주목받고 있습니다.

티엘비 주가

QLC-관련주-티엘비-주가

티엘비 주가는 전일 대비 1.07% 상승한 23,600원입니다.

상세지표는 EPS 256원, PER 92.28배, 업종PER 145.72배, PBR 2.08배로 나타납니다.


6. 한양디지텍 (QLC 낸드 관련주)

동사는 PC와 통신 장비에 사용되는 반도체 메모리 모듈을 주력으로 제조하고 있습니다.

생산 현황

메모리 모듈 : PC와 서버 등 전자기기에 필수적인 메모리 모듈을 제조하고 있으며 최근 메모리 모듈 생산량을 8,300만 개로 크게 늘렸습니다.

SSD 생산 : 데이터 저장 장치인 SSD를 생산하고 있으며, 최근 생산량을 827만 개로 증가시켰습니다.

베트남 공장 설립

한양디지텍은 중국 공장을 매각하고 베트남에 신공장을 설립하여 생산능력을 확충했습니다.

한양디지텍 주요 실적 및 전망

2023년 당기 매출은 4,788억원(100%)이며 메모리모듈 3,920억원(81.9%), SSD 721억원(15.1%), IP통신 93억원(1.9%), 기타 부문 54억원(1.1%)으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 2024년 1분기 실적:
    • 영업이익: 111억 5628만 원 (전년 동기 대비 206.3% 증가)
    • 매출액: 1675억 2983만 원 (전년 동기 대비 53.1% 증가)
    • 당기순이익: 75억 2438만 원 (전년 동기 대비 122.9% 증가)
  • 2024년 전체 실적 전망:
    • 매출액: 1870억원 (SK증권) / 1890억원 (대신증권) / 2020억원 (한화투자증권)
    • 영업이익: 60억원 (SK증권) / 66억원 (대신증권) / 140억원 (한화투자증권)

한양디지텍이 QLC 낸드 관련주에 편입된 이유는?

한양디지텍은 삼성전자에 메모리모듈, SSD 납품이력이 부각되며 QLC 낸드 관련주에 편입되었습니다.

삼성전자는 한양디지텍 메모리모듈 사업의 81.9%를 차지하고 있으며, SSD 사업 부문의 경우 15.1%를 차지하고 있습니다.

한양디지텍 주가

QLC-낸드-관련주-한양디지텍-주가

한양디지텍 주가는 23,600원에 형성되어 있습니다.

250일 최고가는 31,750원이며 최저가는 11,720원입니다.

주가는 최근 1년간 36.73% 상승, 6개월간 65.96% 상승했습니다.


7. 티씨케이 (QLC 관련주)

동사는 글래시카본, SiC 웨이퍼 등 반도체 공정용 고순도 흑연제품을 전문적으로 생산하고 있습니다.

삼성전자 낸드플래시 가동률 회복의 수혜

티씨케이는 삼성전자의 낸드플래시 공장 가동률 회복에 따른 수혜를 입을 것으로 예상됩니다.

삼성전자의 시안공장 낸드플래시 가동률은 2023년 3분기 말 30%에서 연말 40~50%까지 상승했으며, 내년 상반기에는 70% 이상까지 높아질 것으로 전망됩니다.

TaC 서셉터

TaC 서셉터란? TaC 서셉터는 SiC 서셉터보다 고온 내구성이 뛰어나고 향상된 에너지 용량을 제공하여 반도체 증착 공정에서 웨이퍼를 받쳐주는 기판으로 사용됩니다. 특히 고온 환경에서 제조되는 Si 반도체 제조에 적합합니다.

티씨케이는 TaC 서셉터 상용화에 성공하여, 2023년 하반기부터 생산 능력을 확대했습니다. 이로 인해 100억 원대의 매출을 올렸으며, 2024년부터 본격적으로 관련 사업을 강화하고 있습니다.

티씨케이가 QLC 관련주로 분류된 이유

티씨케이는 낸드 플래시에 필요한 SiC Wafer와 SiC Ring을 생산하고 있어 QLC 관련주로 분류되었습니다.

티씨케이의 주요 고객사 중 하나인 삼성전자가 QLC 대량 생산이 예상됨에 따라 관련 부품의 수요 증가로 시장의 기대를 받고 있기 때문입니다.

티씨케이 주가

QLC-관련주-티씨케이-주가

티씨케이 주가는 13,4000원으로 전 거래일 대비 4.2% 상승했습니다.

52주 신고가를 돌파하며 주가는 많이 올라와 있는 모습입니다.

주가는 1년간 상승세를 보이고 있는데요.

EPS 5,246원, PER 25.54배, PBR 3.41배, 업종PER 145.72배, 외보율 69.16%이니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8. 개인적인 의견 및 총정리

QLC 관련주로 삼화전기, SK하이닉스(솔리다임), 샘씨엔에스 등 자세히 살펴보았습니다.

QLC는 마이크로소프트, 아마존, 구글 등의 글로벌 기업이 데이터센터 투자를 진행 및 계획하고 있어 QLC 낸드 수요는 더욱 증가할 것으로 예상되고 있습니다.

Ai향 데이터 저장량 증가 추세는 장기적으로도 지속될 것으로 전망되고 있는 만큼 메모리 시장 또한 확대될 것으로 보이니 QLC 관련주와 더불어 CXL, SSD 등 관련 분야 필독하시기 바랍니다.

QLC 대장주는 무엇인가요?

QLC 대장주는 SK하이닉스, 삼성전자로 보고 있습니다. SK하이닉스는 솔리다임, 삼성전자는 엔터프라이즈 SSD 부문에서 높은 점유율과 함께 QLC 기반 낸드 개발을 지속하고 있기 때문입니다.

하지만 테마주 특성상 변동이 잦으므로 차트 모니터링 하시고 좋은 움직임을 보이는 종목으로 직접 판단하시기 바랍니다.

hbm관련주_배너
pim관련주-배너
액침냉각-관련주-배너
AI-관련주-배너
원전-관련주-배너
error: Content is protected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