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SS 관련주가 규제완화와 안정적인 배터리 공급 호재에 강세를 보이고 있습니다. ESS 대장주와 함께 상승종목 확인하시기 바랍니다.
AI 팽창에 따른 전력 부족과 미국 IRA 규제 완화, 설치 증가 성장세를 보이고 있는데요. ESS 관련주로는 서진시스템, SK이터닉스, 포스코DX 등 주요기업 분석하겠습니다.
ESS 관련주 시장 전망
핵심 내용
- 올해 ESS 시장 규모: 235GWh, 400억 달러 (전년 대비 27%, 14% 성장)
- 2035년 시장 규모: 618GWh, 800억 달러 (연평균 10.8% 성장)
- 성장배경 : 송전 안정화 필요성 증가, 친환경 정책 강화, 전기차 보급 확대
용도별 세부 전망
- 유틸리티 규모: 재생에너지 연계 ESS 투자 확대
- 산업용: 생산 시설 안정화 및 비용 절감 목적으로 ESS 도입 증가
- 가정용: 태양광 패널 보급 확대와 연계하여 ESS 설치 증가
1. 포스코DX (ESS 관련주)
동사는 오토메이션, 스마트그리드 등의 서비스를 제공하는 IT&엔지니어링 전문업체입니다.
- 최근 포스코DX는 라이다 전문기업인 아이요봇과 라이다 센서를 활용한 자율주행 및 충돌방지 시스템 개발을 위한 MOU를 체결했습니다.
- 포스코DX와 인텔리빅스가 협력하여 스마트CCTV 및 AI통합관제플랫폼(AMS) 공동 개발을 추진할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 포스코DX는 AI 기술센터 신설하고 제철소 및 배터리 공장을 필두로 제조 현장 전반에 AI를 적용하여 스마트 팩토리를 구축할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전반적으로 AI를 활용해 현장 데이터 기반의 자율화 및 무인화 시스템을 구축할 것으로 보입니다.
포스코DX가 ESS 관련주인 이유
포스코DX는 ESS의 핵심 기술인 전력조절시스템(PSC)을 바탕으로 ESS를 구축 및 스마트그리드를 운영한 수주 이력이 부각되며 ESS 관련주에 편입되었습니다.
전남 신안군 팔금도에 ESS와 관련 엔지니어링 기술을 적용한 독립전력망(마이크로그리드) 구축 사업에 참여한 바 있습니다.
포스코DX 주가
포스코DX 주가는 많이 내려온 모습입니다.
52주 최고가 79,600원 기록 이후 하락세를 보이고 있는데요.
상세지표는 EPS 604원, PER 67.76배, 업종PER 38.76배, PBR 13.52배입니다.
2. 서진시스템 (ESS 대장주)
동사는 ESS장비 및 통신장비부품을 제조 및 판매하고 있습니다.
사업현황
- 전기차 차체 제작용 다이캐스팅 시장에 진입하여 글로벌 대형 완성차 기업에 공급하고 있습니다.
- 서진시스템은 베트남법인을 설립, 25만평 부지의 대규모 생산시설과 제조 설비를 보유하고 있습니다.
- 국내법인 5개사와 베트남, 중국, 미국 등을 포함한 해외법인 13개사의 계열사를 두고 있습니다.
수주 현황
- 서진시스템은 에이스엔지니어링과 431억 원 규모의 ESS 공급계약을 체결한 바 있습니다.
- 미국의 글로벌 ESS 기업인 포윈에너지와 1209억 원 규모의 대규모 계약 이후 801억 원 규모의 추가 계약을 체결했습니다.
- 미국의 애프터마켓을 주도하는 비전휠과 360억 원 규모의 알루미늄휠 공급계약을 체결했습니다.
서진시스템이 ESS 대장주인 이유는?
서진시스템은 ESS부품인 에너지저장장치 케이스와 구동장치를 제조 및 판매하고 있습니다. 연이은 글로벌 대규모 수주를 이어가며 ESS 대장주로 주목받고 있습니다.
서진시스템 주가
서진시스템 주가입니다.
16,000원 대 이후 꾸준히 우상향 하며 52주 최고가를 경신했는데요.
52주 최고가는 27,950원, 최저가는 14,510원입니다.
서진시스템은 ESS 시장 성장과 EV 사업부문 신규사업 진출로 목표주가 34,000원 대로 상향조정 되었습니다.
한 달 | 3개월 | 6개월 | 1년 |
+6.05% | +16.89% | +54.52% | +50.89% |
수익률은 6개월, 1년 동안 50%가 넘는 상승률을 보이고 있습니다.
3. SK이터닉스 (ESS 관련주)
동사는 풍력, 태양광 등의 신재생에너지와 ESS 사업을 영위하고 있습니다.
사업현황
- ESS : SK이터닉스는 약 800MWh 규모의 피크저감형 ESS와 신재생 연계형 ESS를 운영하고 있습니다.
- 풍력 : SK이터닉스는 국내 최대 규모의 풍력 파이프라인을 보유하고 있으며 신안 우이, 인천 굴업도, 제주 가시리 등 1GW의 풍력 사업권을 확보하여 상업운전 중입니다.
- 태양광 : 창녕, 제주, 영암 등 전국적으로 솔라파크를 운영하고 있으며 국내 기업의 RE100 이행을 지원하고 있습니다.
- 연료전지 : 블룸에너지사의 연료전지 국내 공급권을 보유하고 있으며 PF, EPC, 운영 등 전반적인 연료전지 밸류체인을 갖추고 있습니다.
SK이터닉스가 ESS 관련주로 주목받는 이유는?
SK이터닉스는 국내 약 800MWh 규모의 피크저감형 및 신재생형 ESS를 운영하고 있어 ESS 관련주로 주목받고 있습니다.
SK이터닉스 주가
SK이터닉스 주가는 전일 대비 11.06% 오르며 상승마감했습니다.
한 달간 주가는 8.85% 상승한 모습인데요. 최근 거래량이 12배 폭증하며 주가 강세를 보이고 있습니다.
4. LG화학 (전력저장장치 관련주)
LG화학은 석유화학, 첨단소재, 에너지솔루션, 생명과학 분야에서 다양한 사업을 영위하고 있습니다.
분야별 주요 제품
- 석유화학 : ABS, PS, 폴리에틸렌, 스터렌 모노머, 폴리프로필렌 등 생산
- 첨단소재 : 리튬전지 소재(전극소재, 전해질 분리막), 탄소소재(탄소섬유, 그래핀), 생활소재(엔지니어링 플라스틱, 멤브레인) 등 생산
- 에너지솔루션 : ESS 생산 및 판매, 태양고아 발전사업 영위
- 생명과학 : 의약품 개발 및 생산, 바이오 소재 개발
신사업 현황
- 자동차 선루프 유리 필름
LG화학은 독일 베바스토와 SGF(Switchable Glazing Flim) 수주 계약을 체결하여 자동차 선루프 유리 필름 시장에 진출했습니다.
LG화학이 공급한 SGF를 활용해 베바스토는 첨단 선루프 시스템을 제작해 완성차 업체에 제공할 예정입니다.
LG화학이 전력저장장치 관련주인 이유
LG화학은 ESS전용 리튬이용전지를 생산하고 있어 전력저장장치 관련주에 포함되었습니다.
미국 캘리포니아 최대 전력사인 SCE사에 ESS 배터리 납품 이력부터 글로벌 최대 전력엔지니어링 회사인 ABB사와 독일 IBC솔라 등에 ESS 배터리를 공급하고 있습니다.
5. 효성중공업 (ESS 관련주)
전력 설비, 기전 설비, 친환경 설비 생산 및 사업을 운영하는 종합 중공업 기업입니다.
최근 현황
- 효성중공업이 2310억 원 규모의 강력풍력발전사와 90.3㎿ 리파워링 공사를 수주했습니다.
- 효성중공업은 최우수 ESS업체를 선정하는 BNEF에 에너지 스토리지 1티어에 2분기 연속 선정되었습니다.
- 효성중공업은 세계 최초로 100% 수소엔진 발전기 상용화에 성공하며 가동을 시작했습니다.
ESS 주요 수주
- 영국 최대 전력 투자개발사인 다우닝과 영국 사우샘프턴 지역에 50MW급 대용량 ESS 공급
- 남아프리카공화국에 1,900억 원 규모의 대형 ESS 수주
- 이밖에 국내 동국제강, 하닝ㄹ시멘트, 남동발전, 삼천포 태양광 등에 다수 납품
사업 부문
효성중공업은 변압기 관련주에서 자세히 살펴보았지요. 이중 오늘 주제에서는 전력사업을 중심으로 서술합니다.
전력사업
초고압 변압기: 전력망, 발전소, 변전소 등에 활용되는 765kV, 800kV, 1,000kV급의 초고압 차단기를 생산하고 있습니다.
차단기 : 초고압 차단기를 생산하고 있으며 국내 시장 점유율 1위를 차지하고 있습니다.
STATCOM : 전력망 안정화와 신재생에너지 연계에 사용되는 STATCOM을 생산하고 있습니다. 전력망, 풍력발전소, 태양광발전소 등에 사용되고 있습니다.
효성중공업 주가
효성중공업 주가는 상승마감했습니다.
상세투자지표는 EPS 12,438원, PER 24.88배, 업종PER 84.64배, PBR 2.67배, 외보율 11.61%로 나타납니다.
주가추이는 1년간 +286.88% 큰 폭으로 상승했으며, 다음으로 3개월 간 +90.81%, 6개월간 +62.89% 상승했습니다.
수익률을 올려주는 테마주
6. 피엔티 (ESS 관련주)
피엔티는 Roll to Roll 기술을 활용해 IT 및 2차전지 소재를 생산하고 있습니다.
수주 및 고객사
- 660억 원 규모의 2차전지 전극공정 장비 공급 계약을 체결했습니다.
- 984억 원 규모의 전기자동차용 소재 생산 장비 납품 계약을 체결한 바 있습니다.
- 국내 구리 생산업체 LS엠트론에 독점 공급하고 있으며 SK넥실리스와 롯데알미늄을 주요 고객사로 확보하고 있습니다.
ESS 관련 사업제품
2차차전지용 분리막/음극/양극
- 2차전지 분리막을 생산하고 있습니다.
- 주요 생산품: 습식법 및 건식법 분리막
- 활용 분야: ESS, 전기차, 휴대폰, 노트북 등
- 2차전지 음극/양극 소재를 공급하고 있습니다.
- 주요 생산품: NMC, LFP, NCA 등 음극/양극 소재
- 활용 분야: ESS, 전기차, 휴대폰, 노트북 등
피엔티가 ESS 관련주인 이유는 무엇인가요?
피엔티는 ESS용 중대형 2차전지의 분리막과 음극, 양극소재를 생산하고 있어 ESS 관련주에 포함되었습니다.
피엔티 주가
피엔티 주가입니다.
피엔티 실적은 시장 예상치를 상회한 지난해 1분기 대비 96.4% 대폭 증가한 2045억 원의 매출 실적과 120% 증가한 영업이익, 103% 증가한 순이익을 기록했는데요.
실적 공개 이후 5% 이상의 주가 상승을 보이고 있습니다.
7. 삼화콘덴서 (전력저장 관련주)
동사는 국내 유일의 종합 콘덴서 제조업체로, 국내 유일한 콘덴서 종합 메이커입니다.
ESS+전기차
삼화콘덴서는 현대차그룹의 차세대 전기차 전용 EM 플랫폼에 사용되는 인버터용 DC-Link 커패시터 공급업체로 선정되었습니다.
DC링크 커패시터는 독일의 완성차업체 2곳의 전기차에도 탑재 예정으로 1800만대 이상의 물량을 확보해 놓은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강점 및 현재
산화콘덴서의 고압 전력용 커패시터는 국내 시장에서 90% 이상의 점유율을 보이고 있습니다.
현재 HVDC(초고압 직류송전), STATCOM용 커패시터를 개발하고 있습니다.
삼화콘덴서가 전력저장 관련주인 이유
삼화콘덴서는 세라믹 소재를 이용해 전기차용 및 신재생에너지 인버터용 DC 링크 커패시터를 개발하여 전력저장 관련주로 분류되었습니다.
현대모비스에 하이브리드카 전기차용 직류연결 콘덴서를 공급하고 있으며 LTO 복합소재가 적용된 15C급 급속 충방전 ESS용 배터리 커패시터를 개발한 바 있습니다.
삼화콘덴서 주가
삼화콘덴서 주가는 전 거래일 대비 5.56% 오르며 상승 마감했습니다.
상세지표는 EPS 2,002원, PER 24.28배, 업종PER 84.64배, PBR 2.06배입니다.
주가추이 살펴보면 3개월, 6개월간 각각 +38.46%, +34.63%로 가장 높은 상승률을 기록하고 있습니다.
8. 삼화전기 (ESS 테마주)
삼화니찌콘으로 시작하여 콘덴서와 같은 전자축전기 제조사업을 영위하고 있습니다.
- 삼화전기의 SSD전용 S-CAP이 삼성전자와 공동개발한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 현재 삼성전자에 S-CAP을 공급하고 있으며 SK하이닉스와도 공급 진행 중입니다.
핵심 성장 동력
- eSSD용 S-cap : 인공지능 서버 시장이 확대되며 지속적 성장 예상
- 전장용 하이브리드캡 : 고신뢰성 및 고효율성 수요 증가로 생산 카파 확대 예정
삼화전기가 ESS 테마주로 부각되는 이유
삼화전기 전기차가 정차 및 감속 시 낭비되는 에너지를 전기로 저장하는 초고용량 커패시터 그린캡을 생산하고 있어 ESS 테마주로 부각되고 있습니다.
삼화전기 주가
삼화전기 주가는 최근 상승세를 그리고 있는데요.
250일 최고가는 84,500원이며 최저가는 13,710원입니다.
1분기 턴어라운드로 고성장세가 전망되며 52주 신고가를 기록했습니다.
1M | 3M | 6M | 1Y |
+70.07% | +306.82% | +385.09% | +245.89% |
주가상승률은 3개월간 306%, 6개월간 385.09%로 가장 높은 상승률을 기록했습니다.
9. 세방전지 (재생에너지 관련주)
세방전지는 자동차용 및 산업용 축전지 제조 및 판매하고 있습니다.
주요제품
주요제품으로는 로케트 배터리, 에코 배터리, 산업용 배터리가 있습니다.
주요 고객은 BMW, 폭스바겐, 현대자동차, 기아자동차 등이 있습니다.
주요사업
차량용 배터리 : 세방전지의 주력사업 분야로 높은 성능과 긴 수명, 저렴한 가격이 장점으로 휘발유 자동차와 하이브리드 자동차, 전기차에 활용되고 있습니다.
산업용 배터리 : 기계 장비에 사용되며 다양한 용량 및 형태가 장점으로 태양광 발전, 풍력발전, 철도, 선박 등의 다양한 산업분야에 사용되고 있습니다.
세방전지가 재생에너지 관련주인 이유
세방전지는 태양광, 풍력, 스마트그리드 융합용 1~3kW부터 50kW급의 ESS를 개발하며 재생에너지 관련주에 편입되었습니다.
300kW급 전기차 충전기용 ESS 개발에 성공한 바 있습니다.
세방전지 주가
세방전지 주가입니다.
상세 투자지표는 EPS 8,348원, PER 13.13배, 업종PER 84.64배, PBR 1.14배로 외보율은 28.78%로 나타납니다.
세방전지는 우량한 재무구조와 하이브리드향 AGM의 수요 증가로 성장이 기대되고 있습니다.
10. 비나텍 (ESS 관련주)
동사는 수소연료전지와 초고용량 캐패시터를 제조하는 전자축전기 기업입니다.
커패시터
비나텍은 커패시터 전문기업인 수산에너솔을 지분 87.83%를 확보하며 사명을 비나에너솔로 변경, 보유 중입니다.
기존의 수산에너솔과 비나텍 모두 베트남에 생산공장을 보유하고 있는 만큼 슈퍼커패시터 글로벌 시장점유율 1위를 공고히 할 것으로 보입니다.
MEA(막전극접합체)
- 비나텍은 프랑스 수소연료전지 기업과 34억 원 규모의 MEA 공급 계약을 체겨했습니다.
- 한국자동차연구원과 MEA(막전극접합체), 분리판 등의 수소연료전지 핵심소재부품을 공동개발하는 협약을 체결했습니다.
세계 수소연료전지 시장이 2025년 66조원에 달할 것으로 추정되며, 국내 역시 2030년에는 10배 이상 성장할 것으로 예상됨에 따라 MEA 기술력을 통해 글로벌 경쟁력을 강화할 것으로 보입니다.
비나텍이 ESS 관련주로 분류된 이유는?
비나텍은 슈퍼커패시터 사업을 영위하고 있어 ESS 관련주로 분류되었습니다.
한국전력과 하이브리드형 ESS 운영 기술과 메가와트급 슈퍼커패시터 개발을 위해 연구를 진행한 바 있습니다.
비나텍 주가
비나텍 주가입니다.
52주 최고가는 76,500원으로 최저가는 39,700원입니다.
수익률의 경우 1년 기간을 제외하고 한달, 3개월, 6개월 모두 상승했으며 특히 6개월간 36.35%로 가장 큰 폭의 상승률을 보이고 있습니다.
11. 개인적인 의견 및 종합정리
ESS 관련주로는 포스코DX, 효성중공업, 서진시스템, SK이터닉스 등이 있으며 이에 대해 자세히 알아보았습니다.
ESS 시장은 400억 달러 규모로 성장 중이며 향후 10년간 연평균 10.8%로 성장하여 2035년 800억 달러 규모로 예상되고 있습니다.
아시아 태평양 지역의 빠른 성장과 함께 장기적으로 높은 성장 잠재력을 지닌 만큼 총정리한 ESS 관련주 종목들 꼼꼼히 확인하시기 바랍니다.
ESS 대장주는 무엇인가요?
ESS 대장주는 서진시스템입니다. 대장주는 시장 동향에 따라 변동되고 있으니 차트 움직임과 분석으로 직접 판단하시기 바랍니다.
*해당 글은 투자를 추천하지 않습니다. 모든 투자의 책임은 투자자 본인에게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