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의 생물보안법 통과 시 중국 바이오 기업들의 타격이 예상되며 CDMO 관련주에 매수세가 몰리고 있습니다. CDMO 관련주로는 바이넥스, 삼성바이오로직스, SK바이오사이언스 등이 있는데요. CDMO 대장주는 무엇인지 함께 알아보겠습니다.
생물보안법은 조 바이즌 정부가 발의한 것으로 2032년부터 중국 바이오 기업과 거래하지 않겠다는 것인데요.
트럼프 전 대통령 또한 ‘아젠다47’ 공약으로 중국 필수품 수입 금지 4개년 계획을 도입하겠다고 밝힌 바 있습니다. 생물보안법으로 촉발된 CDMO 관련주 종목은 어떤 게 있는지 알아보겠습니다.
1. SK케미칼 (CDMO 관련주)
동사는 그린케미칼과 라이프사이언스 부문에서 고부가가치 제품으로 포트폴리오를 재편하고 있습니다.
SK케미칼 사업 부문
- 그린케미칼 부문:
- 코폴리에스터: SK케미칼의 주요 제품 중 하나로, 특히 비스페놀A(BPA) 없이 안전하게 사용할 수 있어 환경 친화적입니다.
- 바이오 소재 및 재활용: SK케미칼은 화학적 재활용과 바이오 소재로의 전환을 추진하며, 이를 통해 2030년까지 관련 매출을 2.6조 원으로 확대할 계획입니다.
- 라이프사이언스 부문:
- 제약 사업: 기존의 천연물 치료제와 도입 약품의 안정적인 판매를 통해 매출을 유지하고 있습니다. SK케미칼은 제약 부문의 매각을 검토했으나, 최종적으로 사업을 지속하기로 결정하였습니다.
SK케미칼 실적
2분기 연결 기준 매출액 4139억 원, 영업이익 89억 원, 순이익 51억 원으로 매출액 전년 동기 대비 11.5% 증가, 영업이익 및 순이익 흑자 전환하였습니다. 코폴리에스터를 중심으로 사업을 확장하면서 성장했습니다.
최근현황
바이오신소재 PO3G 상업설비는 연산 5,000톤 양산체제를 갖추었으며, 새로운 성장 동력으로서 본격적인 친환경 소재 시장 개척에 나설 예정임.
SK케미칼이 CDMO 관련주인 이유는 무엇인가요?
SK케미칼은 자회사 SK바이오사이언스가 백신 CDMO와 CMO 사업을 영위하고 있어 CDMO 관련주에 편입되었습니다.
SK케미칼 주가
2. 바이넥스 (CDMO 대장주)
CMO(위탁생산) 사업을 중심으로 다수의 바이오 의약품 개발 과제를 수행하고 있습니다.
바이넥스 사업 포트폴리오
CMO(위탁생산) 사업:
- 바이넥스는 바이오의약품 CMO 부문에서 높은 성장세를 보이고 있으며, 이는 전체 매출의 중요한 부분을 차지하고 있습니다.
제약 사업:
- 바이넥스는 합성의약품 생산과 바이오의약품 생산을 함께 진행하고 있으며, 최근에는 부산 사하구에 443억 원을 투자해 의약품 공장을 증설하고 있습니다.
주요뉴스
미국 시장 진출:
- 바이넥스는 미국 FDA 실사를 준비 중이며, 미국 시장을 겨냥한 상업용 제품을 처음으로 출하할 예정입니다.
셀트리온과 협력:
- 바이넥스 송도 공장에서 셀트리온의 악템라 바이오시밀러(CT-P47) 전용 라인으로 전환해 상업 생산을 시작할 예정입니다.
바이넥스가 CDMO 대장주인 이유는 무엇인가요?
바이넥스는 국내최초 CDMO 기업으로 송도 KBCC를 10년간 운영하고 있으며 GC녹십자와 CMO 사업 MOU를 체결 이력이 부각되며 CDMO 대장주 움직이고 있습니다.
바이넥스 주가
바이넥스 주가는 한달간 8.68%, 3개월간 64.71%, 6개월간 108.41%, 1년간 167.72%로 높은 상승률을 보이고 있습니다.
3. 삼성바이오로직스 (CDMO 관련주)
동사는 세포주 개발에서부터 상업용 생산, 그리고 품질 검사에 이르는 전 과정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습니다.
포트폴리오
삼성바이오로직스는 다양한 바이오의약품 제조 기술과 서비스를 제공하며, 이를 통해 전 세계 제약사와 협력하고 있습니다.
- CDMO 서비스: 회사는 셀 라인 개발부터 상업 생산까지 모든 단계의 서비스를 제공합니다. 또한, 다양한 종류의 바이오의약품을 생산할 수 있는 시설을 갖추고 있습니다.
- 생산시설: 삼성바이오로직스는 4개의 가동 중인 공장을 보유하고 있으며, 5번째 공장은 2025년 4월에 완공될 예정입니다. 이를 통해 회사는 세계 최대 규모의 바이오의약품 생산 용량을 확보하게 됩니다.
- 포트폴리오 확장: 삼성바이오로직스는 mRNA, ADC(항체약물결합체), 유전자 치료제 등 차세대 바이오 의약품 기술로 포트폴리오를 확장하고 있습니다.
삼성바이오로직스 실적
삼성바이오로직스는 2024년 현재 글로벌 계약 개발 및 제조 조직(CDMO)으로서 큰 성장을 기록하고 있습니다. 2024년 1분기와 2분기 모두 매출과 영업이익에서 높은 성장률을 달성하며, 업계 내에서 강력한 위치를 유지하고 있습니다.
- 2024년 1분기 실적: 삼성바이오로직스는 2024년 1분기에 매출 9,469억 원을 기록하여 전년 대비 31.3% 증가했습니다. 영업이익은 2,213억 원으로 15.4% 증가했습니다.
- 2024년 2분기 실적: 2분기 매출은 1조 1,569억 원으로 전년 대비 33.6% 증가했으며, 영업이익은 4,345억 원으로 71.4% 급증했습니다.
삼성바이오로직스가 CDMO 관련주인 이유는 무엇인가요?
삼성바이오로직스는 모더나의 코로나 백신 위탁생산 계약을 체결 이력이 부각되며 CDMO 관련주에 편입되었습니다.
삼성바이오로직스 주가
삼성바이오로직스는 3개월간 28.10%, 1년간 27.08%의 상승률을 보이고 있습니다.
4. SK바이오사이언스 (CDMO 관련주)
SK바이오사이언스는 백신 개발 및 제조, 그리고 글로벌 시장을 대상으로 한 바이오 의약품의 위탁개발생산(CDMO) 사업을 영위하고 있습니다.
사업현황
- 백신 사업: SK바이오사이언스는 COVID-19 팬데믹 동안 중요한 역할을 했으며, 다양한 백신을 개발하고 공급해 왔습니다. 또한, 글로벌 제약사들과 협력하여 다양한 백신 및 바이오 의약품의 생산을 담당하고 있습니다.
- 글로벌 확장: IDT Biologika 인수를 통해 SK바이오사이언스는 유럽과 미국에 걸친 생산 및 R&D 인프라를 확보했습니다.
주요 뉴스
- IDT Biologika 인수: SK바이오사이언스는 독일의 IDT Biologika를 인수하여 유럽 및 미국 시장 진출의 발판을 마련했습니다. 이로써 포트폴리오를 확대하고, 항암 바이러스 및 세포 유전자 치료제(CGT) 분야로의 진출을 가속화할 수 있을 것으로 보입니다.
SK바이오사이언스가 생물보안법 관련주인 이유는?
SK바이오사이언스는 아스트라제네카의 코로나 백신 위탁생산을 맡은 바 있으며, 노바벡스와 코로나 백신 후보 물질의 항원 개발 및 생산, 글로벌 공급 CDMO 계약을 체결한 바 있어 생물보안법 관련주에 포함되었습니다.
SK바이오사이언스 주가
5. 에스티팜 (CDMO 관련주)
에스티팜은 주로 올리고와 mRNA 기반 바이오 의약품의 개발 및 제조 서비스를 제공하는 CDMO 사업을 영위하고 있습니다.
사업현황
- 올리고뉴클레오타이드(Oligonucleotide) CDMO: 에스티팜의 주요 매출원 중 하나로, 다양한 유전자 치료제와 관련된 의약품 개발 및 생산에 집중하고 있습니다.
- mRNA 기반 기술: COVID-19 팬데믹 이후, mRNA 관련 기술력 강화에 주력하고 있으며, 이 부문이 향후 성장을 이끄는 주요 동력 중 하나로 자리잡고 있습니다.
- 저분자 신약(Small Molecule): 기존의 작은 분자 의약품 생산 기술도 여전히 중요한 사업 부문으로 유지하고 있습니다.
수주 현황
- 세계 1위 인간면역결핍바이러스(HIV) 치료제인 미국 길리어드사이언스의 ‘빅타비’의 원료의약품 공급사로 선정되었습니다.
- 벨기에 RNA 플랫폼 기업 ‘퀀툼 바이오사이언스’와 메신저 리보핵산(mRNA) 분자를 안정화시키는 용도의 ‘스마트캡’ 공급 계약을 체결했습니다.
에스티팜이 CDMO 관련주로 분류된 이유는?
에스티팜은 mRNA 합성 시 필요한 분자 안정화 기술인 5’캡핑(5’-capping reagent)을 자체개발하며 국내 특허 출원을 완료하여 CDMO 관련주로 분류되었습니다.
에스티팜 주가
에스티팜 주가가 급등하며 6개월간 73.22%의 주가상승률을 보이고 있습니다.
6. 대웅제약 (생물보안법 관련주)
포트폴리오
- Nabota (보툴리눔 톡신 A형): 미용 및 치료 목적으로 사용되는 제품으로, 글로벌 시장에서 빠르게 성장 중입니다.
- Fexuclue (Fexuprazan): 위식도역류질환(GERD) 치료제로, 최근 라틴아메리카 시장에 진출하며 글로벌 확장을 가속화하고 있습니다.
- Envlo (Enavogliflozin): 당뇨병 치료제로, 국내 출시 이후 인도네시아와 필리핀 등 해외 시장으로 확장하고 있습니다.
대웅제약 실적 대웅제약은 2024년 2분기 동안 매출 3,255억 원과 영업이익 496억 원을 기록하며 전년 대비 각각 6%와 37.1%의 성장을 이루었습니다. 이러한 성과는 회사의 주요 제품인 Nabota, Fexuclue, 그리고 Envlo의 강력한 판매 실적에 힘입은 것으로 보입니다.
주요뉴스
대웅제약은 AI 신약 개발 시스템 DAISY를 도입하여 신약 개발의 속도를 혁신적으로 단축하고 있습니다.
DAISY 활용 시 3D 모델링과 인공지능을 활용해 특정 단백질을 표적으로 하는 활성 물질을 신속하게 발견할 수 있으며, 개발 기간을 기존 15년에서 7년으로 줄이고 비용도 대폭 절감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되고 있습니다.
대웅제약이 생물보안법 관련주에 포함된 이유는 무엇인가요?
대웅제약은 영국 아박타와 ‘아피셀테라퓨틱스’를 합작 설립하여 CDMO 전문기업인 진스크립트 프로바이오와 CDMO 계약을 체결하며 생물보안법 관련주에 포함되었습니다.
대웅제약 주가
대웅제약 주가는 1M/3M/6M/1Y 각각 9.62%, 32.56%, 21.90%, 33.55% 상승했습니다.
7. 헬릭스미스 (생물보안법 관련주)
동사는 대표적인 제품인 엔젠시스(Engensis, VM202)를 중심으로 다양한 신약 개발을 진행하고 있는 바이오테크 기업입니다.
대표제품
- 엔젠시스 (VM202): 헬릭스미스의 주요 파이프라인으로, 신경계 질환 치료에 중점을 둔 유전자 치료제입니다. 현재 당뇨병성 말초 신경병증에 대한 임상 3상 시험이 진행 중이며, 루게릭병(ALS) 치료를 위한 임상 2상 시험도 함께 진행되고 있습니다.
- 타디오스(TADIOS): COVID-19 치료제 후보로, 임상 시험에서 긍정적인 결과를 보고하고 있습니다. 이 제품은 면역 조절 및 항염 효과를 통해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을 억제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습니다.
매출구성
천연물 | 건강기능식품 외 | 78.76% |
바이오신약 | 기타 | 21.24% |
천연물 건강기능식품으로는 큐비앤, 아토라떼 등이 대표적입니다. 관련해서는 직/간접판매(약국, 자사 온라인몰 및 제휴쇼핑몰 등) 실적이 주요 매출로 인식되고 있습니다.
사업현황
FDA의 승인을 받아 새로운 제형의 엔젠시스를 상업화를 목표로 한 임상 3상에 도입할 계획을 발표했습니다. 이 제형은 기존보다 더 높은 생산 효율성과 안정성을 갖추고 있어 상업화 가능성을 크게 높일 것으로 기대됩니다.
헬릭스미스가 생물보안법 관련주인 이유는?
헬릭스미스는 세포 유전자치료 CDMO 사업을 영위하고 있어 생물보안법 관련주로 편입되었습니다.
헬릭스미스의 CAR-T 2.0 원천 플랫폼 기술을 바탕으로 고형암 대상의 CAR-T 치료제를 개발하는 자회사 카텍셀과 지플러스생명과학은 크리스퍼 유전자가위 기술이전 계약을 체결한 바 있습니다.
헬릭스미스 주가
8. 에이프로젠 (생물보안법 관련주)
에이프로젠은 바이오시밀러와 항체 의약품 개발을 중심으로 한 사업 포트폴리오를 보유하고 있습니다.
주요제품 매출 현황
하드페이싱 | 300억 원 |
철강판매 | 460억 원 |
의약품 | 629억 원 |
바이오의약품 | 41억 원 |
단열 | 63억 원 |
에이프로젠의 금속사업부에 속하는 하드페이싱, 철강판매는 약 760억 원의 가장 높은 매출을 올리고 있습니다. 다음으로는 의약품 사업부문이 629억 원으로 총 매출액 대비 41.81%의 비중을 차지하고 있습니다.
최근 현황
- 글로벌 바이오시밀러 시장 공략: 휴미라 바이오시밀러를 시작으로 다양한 바이오시밀러 개발 및 상업화를 통해 글로벌 바이오시밀러 시장을 공략할 계획입니다.
- 퍼퓨전 배양 기술: 에이프로젠은 2000년대 중반부터 퍼퓨전 배양 기술을 도입하여 지속적으로 발전시켜 왔습니다. 특히, 2000리터급 퍼퓨전 배양기를 이용한 상업 스케일 생산에 성공하여 리터당 100그램 이상의 항체의약품 생산성을 달성한 바 있습니다.
- 오송공장의 생산 능력 확대: 오송공장의 생산 능력을 확대하여 글로벌 시장 수요에 대응할 계획입니다.
실적
2024년 3월 전년동기 대비 매출액 5.9% 증가, 영업손실 4.5% 증가, 당기순손실 17.5% 증가했습니다.
에이프로젠이 생물보안법 관련주로 상승한 이유는?
에이프로젠의 자회사 에이프로젠바이오로직스가 항체의약품 CDMO 사업을 영위하고 있어 생물보안법 관련주로 11.31% 상승한 바 있습니다.
에이프로젠은 레미케이드 바이오시밀러(GS071)를 개발해 일본에서 품목허가를 받고 판매 중입니다.
에이프로젠 주가
에이프로젠 주가는 한 달간 -0.24% 하락, 3개월간 30.87% 상승, 6개월간 121.90%의 높은 상승률을 보이고 있습니다.
9. 이연제약 (CDMO 수혜주)
이연제약은 전통적인 화학 의약품 사업에서 바이오 의약품 및 CDMO 사업으로의 전환을 성공적으로 이루어냈습니다.
포트폴리오
화학 의약품
- 전통적인 사업 부문으로, 일반 및 전문 의약품 제조와 판매.
- 최근 몇 년간 비중이 축소되고, 바이오 의약품 및 CDMO 사업으로의 전환 가속화.
바이오 의약품
- 유전자 치료제 등 첨단 바이오 의약품 개발에 집중.
- 충주에 국내 유일의 유전자 치료제 상업 생산 공장 운영.
- 글로벌 품질 기준을 충족하는 생산 역량 확보.
CMO/CDMO 사업
- 고객사 맞춤형 의약품 개발 및 생산 서비스 제공.
- 프로티움사이언스와의 협력으로 바이오 의약품 CDMO 사업 확대.
- 글로벌 제약사들의 의약품 개발 및 상업 생산 지원.
매출구성
순환기 | 15.5% |
항생제 | 10.9% |
점안제 | 6.6% |
소염제 | 6.6% |
소화기 | 6.2% |
조영제 | 17.0% |
2023년 3월 기준 전년동기 대비 매출액 0% 감소, 영업이익 42.8% 감소, 당기순이익 83.8% 감소했습니다. 비용이 증가하여 수익성이 악화되었으며 생산플랫폼 기반 R&D 사업 모델을 추진 중인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이연제약이 CDMO 수혜주인 이유는?
이연제약은 충주 바이오 공장 pDNA 생산 역량을 보유하고 있어 CDMO 수혜주로 부각되었습니다.
이연제약은 액상 기준 4800만 바이알, 동결건조 기준으로는 900만 바이알의 바이오의약품 완제 생산력을 보유하고 있습니다.
10. 큐라티스 (CDMO 관련주)
동사는 백신 개발과 CDMO(위탁개발생산) 사업에 주력하는 바이오 제약회사입니다.
수익 포트폴리오
- 백신 개발: 주력 제품인 결핵 백신 QTP101과 QTP104의 상업화를 목표로 하고 있습니다.
- CMO/CDMO 사업: 큐라티스는 오송 바이오플랜트를 통해 소량 다품종 생산에 특화된 CDMO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습니다. 이 사업부문은 바이오 벤처 및 중소형 제약사를 주요 고객으로 두고 있습니다.
최근현황
큐라티스는 결핵 백신 QTP101에 대한 상업화를 목표로 하고 있습니다. 청소년과 성인을 대상으로 하며, 기존 BCG 백신의 효과를 보강하는 역할로 알려졌습니다.
CDMO 사업에서의 매출 감소와 주요 거래처와의 소송 문제 등으로 수익성이 악화된 모습입니다. 2023년 3월 기준 전년 동기 대비 매출 81.9% 감소, 영업손실 12.4% 감소 및 당기순손실 14.4% 감소로 적자 지속 중입니다.
큐라티스가 CDMO 관련주인 이유는?
큐라티스는 오픈 이노베이션을 통해 개발역량이 부족한 업체에 CMO 및 CDMO 사업을 진행하고 있어 CDMO 관련주에 포함되었습니다.
11. CDMO 관련주 총정리
CDMO 관련주에 대해 총정리해보았습니다. 미국과 중국의 갈등이 격화됨에 따라 글로벌 의약품의 공급망이 재편되는 움직임을 보이고 있는데요. 국내 CDMO 관련주가 상승한 배경이기도 합니다.
CDMO 관련주는 무엇이 있나요?
CDMO 관련주로는 SK케미칼, 바이넥스, 삼성바이오로직스, 에스티팜 등이 있습니다. 더 많은 상세 종목은 본문을 참고하세요.
CDMO 대장주는 무엇인가요?
CDMO 대장주는 바이넥스입니다. 테마주 특성상 대장주는 변동이 잦으므로 차트 모니터링 후 직접 판단하시기 바랍니다.
*해당글은 투자를 추천하지 않습니다. 모든 투자는 위험성이 따르며 모든 책임은 투자자 본인에게 있음을 알립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