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기차 충전 관련주는 필수 설치가 권장되며 상승 테마주로 꼽히고 있습니다. 세계적으로 전기차 생산 및 수요가 증가함에 따라 관련 시장 성장세가 상승하고 있는데요
전기차 사용자 증가에 따라 전기차 충전소 또한 비례해서 증가해야겠죠. 전기차 개체수와 맞물려 각 주거지역 및 지역구 곳곳에 설치해야 하는 필수요소가 되었습니다. 전기차 충전 관련주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LG전자 (전기차 충전 관련주)
동사는 LG 그룹사 내에서 전자기기 및 정보통신 사업을 담당하고 있습니다.
- LG전자는 전기자동차 충전기 전문업체인 애플망고를 GS에너지, GS네오텍과 공동 인수하여 전기차 충전 관련주에 포함되었습니다.
- LG전자가 60%의 지분을 확보한 애플망고는 2019년 설립되어 완속 및 급속 충전기를 주택, 아파트와 같은 주거지역부터 상업지역까지 설치 가능한 원천 기술을 보유하고 있습니다.
- 최근 유상증자 참여를 위해 애플망고에 246억 원을 출자하며 사업 속도를 높이고 있습니다.
- GS와 공동인수를 한 만큼 GS칼텍스의 주유소망을 활용할 수 있어 전기차 충전소 인프라 구축에 용이할 전망입니다.
- 현재 LG전자의 전기차 사업은 <LG에너지솔루션에서 전기차 배터리 생산>, <LG전자에서 전기차 충전 솔루션>, <LG마그나 이파워트레인>에서 자동차 부품 제조로 성공적인 포트폴리오를 구상했다는 평가를 받고 있습니다.
- 전기차 충전기 생산라인을 평택 LG디지털 파크에 구축하여 충전기 공급을 확대할 전망입니다.
LG전자 실적
2021년도 | 2022년도 | ||
---|---|---|---|
매출액 | 73.9조 | 83.4조 | ⬆️ 12.9% |
영업이익 | 4조 | 3.5조 | ⬇️ -12.5% |
당기순이익 | 1.4조 | 1.8조 | ⬆️ 31.7% |
원가율이 증가하며 생산력이 떨어져 영업이익이 감소되었습니다. 매출은 홈어플라이언스(냉장고, 세탁기 등)가 35.8%를 차지하고 있으며 LG이노텍이 23.5%, 홈엔터테인먼트 부문이 18.8%를 차지하고 있습니다.
원익피앤이 (전기차 충전 대장주)
동사는 배터리 테스트 장비 및 후공정 생산 설비, 전기차 충전, EV 배터리팩 등 배터리 충방전 분야에서 지속적인 R&D를 통해 배터리 사업을 영위하고 있습니다.
- 원익피앤이는 전기차 충전기 제조 사업을 담당하는 피앤이시스템즈를 자회사로 두며 해당 테마로 큰 상승폭을 보이며 전기차 충전 대장주로 평가되고 있습니다.
- 전기차 충전기 사업을 담당하는 피앤이시스템즈는 10년이 넘는 기간 동안 전기차 충전기 제조, 충전 인프라에 매진하여 중부고속도로와 제주도에 국내 최초로 전기차 충전소를 설치하며 인프라를 구축한 바 있습니다.
- 솔루엠과 전기차 관련 MOU를 체결하였습니다. 양사는 상용화를 목표로 전기차용 충전기 파워 모듈을 공동으로 개발하기로 했는데요. 뿐만 아니라 2차전지 테스트에 필요한 이차전지 충방전기용 전력변환장치 개발도 협약에 포함된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 현재 EV솔루션 사업부문에서 전기차 충전기 급속, 완속, 홈충전기 보급을 비롯해 최근에는 한국 외에도 일본, 미국 등에서 충전 인프라를 구축하고 있습니다.
- 원익피앤이는 최근 폐배터리가 내장된 ESG 하이브리드 충전기로 미국 및 유럽지역을 중심으로 글로벌 시장 진출 예정입니다. ESG 하이브리드 충전기는 전기차의 전력이 부족하거나 원활하지 않을 때 내장된 폐배터리를 사용해 충전하고, 사용하지 않을 때는 전기를 충전함으로써 기존 전기차보다 안전하다는 장점이 있습니다.
원익피앤이 실적
2021년도 | 2022년도 | ||
---|---|---|---|
매출액 | 1,764억 원 | 2,888억 원 | ⬆️ 63.7% |
영업이익 | 150억 원 | 39억 원 | ⬇️ -73.6% |
당기순이익 | 195억 원 | 0원 | ⬇️ -99.8% |
원익피앤이의 실적은 2022년 매출액 2,888억 원 달성하며 전년도 1,764억 원 대비 63.7% 상승한 수치를 보여주었습니다. 하지만 영업이익 2022년도 39억 원으로 150억 원의 전년도 실적 대비 -73.6% 하락, 당기순이익 0원으로 195억 원의 전년도 실적 대비 -99.8% 하락하였습니다.
저가 수주 물량, 투자비용 등의 부담 증가로 수익은 감소하였지만 제품 판매는 증가하여 매출액이 증가한 것으로 보입니다. 올해 스웨덴의 노스볼트의 고마진 수주 등 해외 수주계약건이 반영되면 보다 나은 성과 전망이 기대되고 있습니다.
특징
원익피앤이는 폐배터리 관련주로도 움직이니 최신 뉴스를 함께 챙겨보시기 바랍니다.
솔루엠 (전기차 충전 관련주)
동사는 크게 전력모듈 사업과 ESL(전자 가격 표시기)를 제조 및 판매사업을 영위하며 이외에도 센서모듈, IoT 등 다양한 전자부품을 생산하고 있습니다.
- 솔루엠은 베트남 국영기업 페트로베트남 전력공사와 베트남 최대 규모의 전기차 충전기 국책 사업에 참여하고 있어 전기차 충전 관련주에 편입되었습니다.
- 페트로베트남과 협업하여 내년 생산을 목표로 ESS(에너지 저장장치)와 BMS(배터리 관리 시스템)을 함께 개발할 예정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 ESS와 BMS 개발이 완료되면 베트남 전역에 BSS(배터리 교환형 시스템) 형태의 전기차 충전소 설치도 진행 예정입니다.
- 현재 솔루엠은 전기차 충전소 관련 사업 외에도 ESL 분야에서 글로벌 2위를 차지하고 있습니다.
- 최근에는 기존에 운영하던 전자모듈 부문을 전기차 중심으로 운영하고 있으며 폐배터리 사업과 팹리스 사업을 미래 먹거리로 낙점하여 신규 사업에 속도를 올리고 있습니다.
솔루엠 실적
2021년도 | 2022년도 | ||
---|---|---|---|
매출액 | 1.1조 | 1.6조 | ⬆️ 46.9% |
영업이익 | 265억 원 | 756억 원 | ⬆️ 185% |
당기순이익 | 133억 원 | 454억 원 | ⬆️ 241% |
ESL과 전력모듈 매출 증가와 신사업 비중이 증가하며 전체적으로 매출액, 영업이익, 당기순이익 증가로 호실적을 기록했습니다.
롯데정보통신 (전기차 충전 관련주)
동사는 IT컨설팅 회사로 보안, 식품, 유통, 헬스 등 다양한 분야에서 아웃소싱과 같은 시스템 관리 사업(SM)과 시스템 통합 구축(SI)을 영위하고 있습니다.
- 롯데정보통신은 국내 3대 충전제조사 중 하나인 전기차 충전 업체 EVSIS(이브이시스)를 자회사로 두며 전기차 충전 관련주로 묶이게 되었습니다.
- 이브이시스는 마트와 백화점 주차장에 전기차 충전소 설치가 의무화 됨에 따라 롯데마트, 하이마트, 롯데시네마, 롯데면세점 등 롯데그룹 유통망을 거점으로 점진적으로 설치를 확대 할 예정입니다.
- EVSIS(이브이시스) 전기차 충전소는 앱을 통해 전기차 충전소를 예약하여 결제할 수 있는 등 앱과 웹, 충전기를 통합한 플랫폼과 과충전, 과전류 방지 시스템 안정기가 탑재되어 안정적인 초급속 충전이 가능한 것이 특징입니다.
- 롯데정보통신 EVSIS(중앙제어)는 제작, 설치부터 고장 시 사후 케어까지 책임지고 있으며 24시간 365일 콜센터를 운영하는 등 제조사 중 유일한 환경부 공인 전국망 유지보수 사업자로 알려져 있습니다.
유의사항
- 1조원이 넘는 매출을 기록했지만 신사업 투자와 자회사의 실적 부진으로 영업이익이 크게 감소했습니다.
- KT, LG유플러스, LS그룹 등 주요 대기업들이 전기차 충전 사업에 뛰어들며 경쟁이 심화되고 있습니다. 따라서 이들 사이에서 설치 인프라, 경쟁력 확보가 최우선 과제일 것입니다.
신세계I&C (전기차 충전 수혜주)
신세계아이앤씨는 시스템 운영/개발, 서버/스토리지/보안, 플랫폼 기반의 IT 서비스, 유통 사업을 영위하고 있습니다.
- 신세계I&C는 스파로스라는 전기차 충전 서비스를 런칭하며 전기차 충전 관련주로 새롭게 편입되었습니다.
- 스파로스를 출시하며 신세계 백화점, 프리미엄 아울렛, 이마트, 스타벅스 등 신세계 그룹 계열사를 거점으로 충전소 설치를 늘려갈 예정으로 롯데와의 점유율 경쟁이 예견되고 있습니다.
- 향후 배터리 상태를 진단하는 전기차 배터리 진단 서비스와 전기차 충전요금과 주차장 이용 요금을 합산하여 자동 결제가 가능한 무정차 출차 시스템 제공을 계획 중에 있습니다.
- 최근 환경부와 한국환경공단이 함께 주관하는 전기차 충전소 보조사업에 참여하며 환경부에서 운영 중인 7,000여 개의 전기차 충전소를 신세계I&C의 스파로스앱으로 간편 충전 및 결제 서비스를 제공할 예정입니다.
신세계I&C 실적
2021년도 | 2022년도 | ||
---|---|---|---|
매출액 | 5,200억 원 | 5,900억 원 | ⬆️ 13.5% |
영업이익 | 355억 원 | 375억 원 | ⬆️ 5.6% |
당기순이익 | 390억 원 | 841억 원 | ⬆️ 115% |
매출액 5,900억 원을 기록하며 전년대비 13.5% 증가했으며 영업이익은 375억 원, 당기순이익은 841억 원으로 각각 5.6%, 115% 증가 수치를 기록했습니다. 판관비와 인건비 등의 부담이 증가했지만 높은 매출증가폭을 보여주었으며 신세계 라이브 쇼핑 지분 매각으로 당기순이익이 대폭 증가한 것으로 보입니다.
※ 코넥스에 상장했지만 이전 상장 가능성을 염두에 두시면 좋아 함께 소개합니다. ※
SK시그넷
SK시그넷은 전기차 충전기 제조 판매업 등 EV충전 토탈 솔루션 사업을 영위하고 있습니다.
- SK시그넷은 현재 100kw급 급속 충전기 분야에서 미국 점유율 1위로 지난해에는 미국 퍼블릭 마켓에서 60%의 점유율을 기록한 바 있습니다.
- SK시그넷의 신형 초급속 충전기 V2의 경우 충전 18분 만에 배터리의 80%를 충전할 수 있으며 이외에도 완속/중속 충전기, 급속/초급속 충전기, 특수형 충전기 등 다양한 충전기 인프라가 갖추어져 있습니다.
- 미국 텍사스 플레이노시 공장이 준공되어 올해 생산이 시작되며 이로 인해 연간 1만 기 이상의 350~400kw급 초급속 충전기 생산이 가능할 전망으로 미국 내에서 350kw급 충전기 생산은 SK시그넷이 처음이라고 알려져 있습니다.
- 미국 1~2위 초급속 충전소 사업자 일렉트리파이 아메리카와 EV고(EVgo)와의 안정적인 수주에 이어 영국에서 100억 원 규모, 미국 전기차 충전소 유니콘 기업 테라와트 인프라스트럭처와 해외 수주를 성공하며 성장세를 기록하고 있습니다.
SK시그넷 실적
2021년도 | 2022년도 | ||
---|---|---|---|
매출액 | 799억 원 | 1,620억 원 | ⬆️ 103% |
영업이익 | 23억 원 | 34억 원 | ⬆️ 48% |
당기순이익 | -268억 원 | 74억 원 | ⬆️ 흑자 전환 |
국내외 매출 증가로 매출액이 2배 증가하였으며 영업이익 48% 증가, 당기순이익은 흑자로 전환했습니다.
에스트래픽 (전기차 충전 관련주)
에스트래픽은 요급 징수, 하이패스와 같은 도로교통사업과 철도 신호, 철도 통신 시스템과 같은 철도교통사업을 영위하고 있습니다.
- 에스트래픽의 전기차 충전 브랜드 ‘에스에스차저’가 300억 원 이상 규모로 예측되는 한국도로공사 주최 고속도로 전기차 충전기 민간공모에서 우선협상자로 선정되었습니다.
- 해당 사업에 참여하며 내년 3월까지 186기의 충전기를 고속도로 휴게소 59곳에 설치할 예정입니다.
- 새로운 법인으로 분할한 ‘에스에스차저’는 SK네트웍스가 인수하여 50.1%의 지분을 갖고 앵커에퀴티파트너스가 29%, 에스트래픽은 20.9%를 보유하고 있습니다.
- 에스에스차저는 이후 SK네트웍스가 마케팅, 경영 등의 운영은 앵커PE와 함께 맡으며 에스트래픽은 사업 솔루션 서비스를 제공할 예정입니다.
- 현재 전국에 1천 650기를 운영하고 있으며 3년 내로 3,000개 이상을 설치 운영할 예정입니다.
에스트래픽 실적
2021년도 | 2022년도 | ||
---|---|---|---|
매출액 | 1,276억 원 | 1,321억 원 | ⬆️ 3.5% |
영업이익 | 37억 원 | 96억 원 | ⬆️ 162.9% |
당기순이익 | -86억 원 | 324억 원 | ⬆️ 흑자 전환 |
140억 원 규모의 수도권 고속철도 사업, 195억 원 규모의 인천1호선 신호시스템 사업, 266억 원 규모의 방글라데시 대교 및 고속도로 사업 등 국내외로 굵직한 수주를 잇따라 성공하며 호실적을 기록했습니다.
아이엘사이언스
동사는 자체 개발해 특허받은 실리콘 렌즈를 자동차용 램프, LED 라이트 실리콘 렌즈, 헬스케어 등 다양한 분야에 접목시켜 관련 사업을 영위하고 있습니다.
- 아이엘사이언스는 전기차 충전 가로등 특허 기술을 기반으로 전기차 충전 스마트 가로등 시스템을 출시하며 전기차 충전 관련주로 묶였습니다.
- EV 충전 스마트 가로등 시스템은 가로등에서 전기차를 충전하는 형태로 <기본형, 다기능 스마트형, 하이브리드 다기능 스마트형> 총 3종으로 출시되었습니다. 이중 다기능 스마트형은 범죄예방 목적의 CCTV 설치, 미세먼지 농도 표시 등이 설치되어 이용자의 편리성을 높인 것이 특징입니다.
- 차지인과의 스마트 가로등 협약을 맺고 서울, 인천, 부산, 제주 등 주요 도시 지자체와 협력해 주거지 곳곳에 공터, 쉼터, 주택가를 중심으로 공급될 예정입니다.
- 완속 충전 방식으로 장소와 상황에 구애받지 않고 주거지와 밀접한 가로등에서 전기차 충전이 가능하다는 점과 배터리 수명 연장에 도움이 된다는 점이 장점으로 꼽히고 있습니다.
아이엘사이언스 실적
2021년도 | 2022년도 | ||
---|---|---|---|
매출액 | 486억 원 | 492억 원 | ⬆️ 1.1% |
영업이익 | 26억 원 | -7억 원 | ⬇️ 적자 전환 |
당기순이익 | -77억 원 | 21억 원 | ⬆️ 흑자 전환 |
매출액은 2022년도 기준 492억 원으로 전년도 486억 원과 비슷하게 유지 중이며 영업이익은 -7억 원으로 전년도 26억 원 대비 적자 전환하였습니다.
당기순이익은 21억 원을 기록하며 전년도 -77억 원 대비 흑자 전환되었습니다. 원자재값 상승으로 전년도와 비슷한 매출액을 보이지만 영업이익은 적자로 전환되었습니다.
동양이엔피
전기차 충전소 관련주 동양이엔피는 1987년 설립된 이래 충전기, 어댑터 등의 전원 공급 장치 제조 사업을 영위하고 있습니다.
- 동양이엔피는 전기차 무선 충전기를 개발하며 전기차 충전 관련주에 편입되었습니다.
- 전기 자동차용 고안전·고편의 ‘무선충전 플랫폼 상용화 개발 및 실증 국책과제’를 주관하며 전기차용 무선충전기를 개발해 1차 테스트를 완료하며 상용화를 앞두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 주행 시에도 무선 급속 충전이 가능한 기술을 개발 중이며 국제 표준 규격 85kHz 기반의 33kW 전기차와 100kW급 전기 버스 호환이 가능하여 다양한 차량에 이용이 가능할 것을 전망되고 있습니다.
- 무선 충전기 외에도 세계 3대 디자인 어워드 중 하나인 iF 디자인에서 본상을 수상한 완속 충전기 이클레어 7kW와 급속 충전기 이클레어 100kW를 출시한 바 있습니다.
동양이엔피 실적
2021년도 | 2022년도 | ||
---|---|---|---|
매출액 | 5,194억 원 | 5,598억 원 | ⬆️ 7.8% |
영업이익 | 148억 원 | 278억 원 | ⬆️ 87.3% |
당기순이익 | 177억 원 | 230억 원 | ⬆️ 29.6% |
전년도 대비 ⬆️ 7.8% 상승한 매출액 대비 원자재 상승에도 불구하고 ⬆️ 87.3% 상승한 영업이익과 ⬆️ 29.6% 상승한 당기순이익을 기록하며 수익성이 증가하였습니다.
디스플레이텍 (전기차 충전 수혜주)
디스플레이테크는 LCD 모듈을 개발, 공급하며 모바일용 LCD 모듈 외에도 태블릿PC, 노트북 등의 디스플레이 솔루션을 제공하고 있습니다.
- 현대차가 한국전기차충전서비스를 인수하며 한국전기차충전서비스의 24% 지분을 보유한 디스플레이텍이 전기차 충전소 관련주로 묶였습니다.
- 한국전기차충전서비스는 전기차 충전 서비스, 전기차 충전소 인프라 구축 사업을 하며 현대차가 서비스 중인 24개의 초급속 충전소의 운영을 맡고 있습니다.
- 디스플레이텍의 경우 LCD모듈에서 88.7%의 높은 비중으로 매출이 발생되고 있으며 삼성전자에 납품 중입니다.
디스플레이텍 실적
2022년도 기준 매출액 691억 원으로 전년도 1,360억 원 대비 ⬇️ -49%, 영업이익 31억 원으로 전년 36억 원 대비 ⬇️ -14%를 기록했으나 당기순이익은 68억 원으로 전년도 54억 원 대비 ⬆️ 25.5% 증가했습니다.
종합정리
전기차 생산량에 발맞춰 전기차 충전소 설치가 의무화 되가며 확대될 예정입니다. 아직까지 기업간의 유의미한 기술 차이가 없는 만큼 전기차 충전소의 인프라 및 네트워크 형성이 중요한 상황인데요.
대적으로 자본이 넉넉한 LG, SK 등 대기업은 관련 업체와 손잡고 네트워크를 구축하고 있는 점이 눈에 띄며 미미한 기술 차이 속 동양이엔피의 무선충전 기술 소식도 주의깊게 바라봐야 할 것 같습니다.
전기차 충전 대장주는 큰 상승폭을 보였던 원익피앤이를 제외하고 아직까지 시장 동향, 뉴스에 따라 시시각각 변동이 있습니다.
관련 소식 항상 모니터링 하시고 판단하시기 바랍니다. 개발에 속도가 붙은 만큼 곧 대장주로 눈에 띄는 종목이 나오지 않을까 싶습니다.
시가총액 | 시가총액 순위 | |
---|---|---|
lg전자 | 17조 8,867억원 | 코스피 18위 |
솔루엠 | 1조 3,351억 원 | 코스피 179위 |
롯데정보통신 | 4,434억 원 | 코스피 365위 |
원익피앤이 | 4,150억원 | 코스닥 168위 |
신세계i&C | 2,614억원 | 코스피 516위 |
디스플레이텍 | 1,368억원 | 코스닥 661위 |
동양이엔피 | 1,313억원 | 코스닥 690위 |
에스트래픽 | 1,092억원 | 코스닥 822위 |
아이엘사이언스 | 931억원 | 코스닥 936위 |
sk시그넷 | 3,125억원 |
*위 글은 개인적인 의견으로 투자를 권유하지 않습니다. 모든 투자의 책임은 투자자 본인에게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