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고체 배터리 관련주는 전기차와 밀접한 관련이 있습니다. 장차 전기차가 주류로 자리함에 따라 내연기관차 만큼의 주행거리를 구현하기 위해 전고체 배터리 개발이 필수인데요.
전고체 배터리는 에너지 밀도가 높아 현재 리튬이온배터리의 전기차보다 구조면에서도 안정적이며, 폭발이나 화재의 위험성이 사라집니다. 훼손되어도 형태가 유지되며 공간 효율성 또한 높은 게 장점입니다.
1. 이수스페셜티케미컬 (전고체 배터리 관련주)
동사는 이수화학에서 인적분할하여 설립되어 정밀화학, 전고체 전지소재를 주요 사업으로 영위하고 있습니다.
- 리튬황 배터리는 기존의 리튬이온배터리보다 2배 이상 높은 에너지밀도로 크기를 줄여도 동일한 힘을 낼 수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 지난해 울산 온산공장 내에 210억 원을 들여 20톤 규모의 황화리튬 시범 공장을 준공했으며, 데모플랜트(시범 생산 설비)에서 생산 중으로 연내 본격적인 공급이 이뤄질 전망입니다.
- 분자량 조절제(TDM, NOM/NDM)의 경우 이수스페셜티케미컬이 국내에서 유일하게 생산사업을 영위하고 있습니다.
- 탈황 기술과 가황 기술은 국내 유일하게 보유하고 있어 관련 제품에 뛰어난 기술력을 평가받고 있습니다.
이수스페셜티케미컬이 전고체배터리 관련주에 포함된 이유
이수스페셜티케미컬은 전고체 원료인 황화물계 고체 전해질 및 리튬황 핵심소재인 황화리튬을 양산하며 전고체 배터리 관련주에 포함되었습니다.
이수스페셜티케미컬 주가
이수스페셜티케미컬은 이수화학에서 인적분할 후 재상장 하자마자 급등하며 44만 원대까지 올랐는데요.
현재 주가는 차트내 고가 404,000원 이후 소폭 내려오며 342,500원 대에 거래 마감했습니다.
한 달 | ⬆️ 41.53% |
3개월 | ⬆️ 97.98% |
1년 | ⬆️ 43.41% |
최근 3개월 수익률이 97.98%로 가장 높게 나타나고 있습니다.
2. 삼성SDI (전고체 배터리 대장주)
동사는 친환경 에너지와 에너지 첨단소재를 주축으로 이차전지 사업과 반도체, 디스플레이용 전자재료 사업을 영위하고 있습니다.
- 삼성SDI의 황하물계 전고체 배터리는 고체 전해질 소재를 개선하여 무음극 기술로 부피가 적고 양극재를 추가한 것이 특징입니다.
- 수원 연구소에 파일럿 라인을 신설하고 전고체 배터리 개발 사업을 추진하고 있으며 현재 자동차 제조업체 OEM 3곳에 샘플을 제공하여 협의 중인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 현재 4680 원통형 배터리 개발을 추진하며 양산을 준비 중인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삼성SDI가 전고체 배터리 대장주인 이유는?
삼성SDI는 전고체 배터리 전담 ASB 사업화 추진팀을 신설하며 국내 배터리셀 기업 중 기술 개발이 가장 빠르게 앞서 있어 전고체 배터리 대장주로 주목받고 있습니다.
삼성SDI 주가
삼성SDI 주가는 차트상 최저 574,000원 이후 상승하며 최고가 801,000원을 찍고 현재 종가는 695,000원입니다.
PER은 23.63배 정도로 낮은 수준입니다. 배당금은 2022년~2024년에는 1,030원으로 퍼센트로 봤을때 0.15~0.17% 사이이며, FCF(Free Cash Flow)의 5~10%를 지급하고 있습니다.
삼성SDI 실적
2021년 | 2022년 | |
---|---|---|
매출액 | 13.5조 원 | 20.1조 원 |
영업이익 | 1조 | 1.8조 |
당기순이익 | 1.2조 | 2조 |
삼성SDI 실적을 살펴보면 매출액과 영업이익은 매년 조금씩 증가하는 추세입니다.
3. 레이크머티리얼즈 (전고체 배터리 관련주)
동사는 LED용 발광물질, 석유화학촉매제 등 화학제품 제조업을 영위하고 있습니다.
- 국내에서 유일한 TMA(트리멘탈알루미늄) 제조 업체로 TMA 공장을 증설 중인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 레이크머티리얼즈는 연간 120톤 규모의 황하리튬 생산 능력을 갖추고 있습니다.
- 반도체 소재 대표 제품으로는 원자단위증착(ALD), 화학기상증착용(CVD) 전구체가 있습니다.
레이크머티리얼즈가 전고체 배터리 관련주인 이유는?
레이크머티리얼즈는 전고체 배터리 제작 시 핵심 원료인 황하리튬 소재 개발을 완료했는데요. 해당 키워드로 주목받으며 26.71%의 주가 급등과 폭발적인 거래량을 이끌며 전고체 배터리 관련주로 부각되고 있습니다.
매출 품목
전체 매출 중 반도체 소재가 53,61%로 가장 큰 매출 비중을 차지하고 있습니다. 다음으로 태양광 소재에서 31.86%, 석유화학촉매에서 9.04%, LED 소재 4.94%, 기타 약 0.55%로 발생하고 있습니다.
레이크머티리얼즈 주가
레이크머티리얼즈 주가는 고가 기준 29.91% 급등한 후 하락하며 현재 25,750원에 종가 마감했습니다.
52주 최고가는 33,100원, 초저가는 5,960원까지 내려간 바 있는데요.
상세지표는 EPS 411원, PER 65.10배, 업종PER 75.68배로 외보율 7.08% 가량 됩니다.
4. 천보 (전고체 배터리 관련주)
천보는 2차전지 전해질, 전자소재, 정밀화학 소재 등을 제조 및 공급하고 있습니다.
- 천보는 전고체 배터리의 주요 소재인 고체 전해질을 개발중으로 알려져 전고체 배터리 관련주로 분류되었습니다.
- 자회사인 천보비엘에스가 5200억 가량을 투자하여 전북 새만금국가산업단지에 대규모 차세대 전해질 공장 착공에 들어가 2026년 완공할 예정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 충전속도와 수명이 업그레이드 된 LiFSI 전해질을 세계 시장에서 천보와 중국의 하나의 기업만 생산 중입니다.
- 세계 최초로 전기차 핵심부품인 리튬이온을 상용화 하며 반도체 및 디스플레이 소재 글로벌 시장에서 90% 이상의 점유율을 차지하고 있습니다.
천보 주가
천보 주가는 86,400원대로 많이 내려왔습니다.
250일 변동폭은 299,500원~81,000원 사이입니다.
최근 P전해질 공장 증설을 완료했으며, 새만금국가산업단지에 F전해질, FEC, VC 대규모 공장을 건설 중입니다.
5. 엘앤에프 (전고체 배터리 관련주)
동사는 2차전지에 사용되는 양극활물질 및 관련 소재를 제조 및 공급하고 있습니다.
- 엘앤에프는 전고체 배터리에 사용되는 단결정 니켈 계열 양극재를 개발하며 전고체 배터리 관련주로 편입되었습니다.
- 단결정 니켈 계열 양극재의 고객사 테스트를 마치고 품질 테스트를 위해 시험 양산을 완료하여 샘플 매출이 발생한 바 있습니다.
- 예상 출하 시점은 에코프로비엠과 비슷한 2023년 하반기로 최종 고객사는 테슬라가 될 전망입니다.
- 엘앤에프의 주요 고객사로는 SK온, LG에너지솔루션, 테슬라 등이 있습니다. 이중 LG에너지솔루션은 엘앤에프 매출의 50%를 차지하고 있으며, 테슬라에는 동사의 지난해 매출 4배가 넘는 3조 8347억 원 규모의 양극재를 직접 공급하고 있습니다.
- LS와 함께 2차전지 양극재 핵심 기술소재인 전구체 사업을 위해 LS 55%, 엘앤에프 45%의 지분으로 합작법인 LS-엘앤에프 배터리 솔루션(가칭) 설립 소식이 전해졌습니다.
- 양사는 2025~2026년 양산을 목표로 전북 새만금산업단지에 전구체 공장을 세워 2029년까지 12만톤 생산, 총 사업 1조원 이상의 규모로 추진할 예정입니다.
엘앤에프 주가
엘앤에프 주가를 살펴보면 30만 원대에서 현재 10만 원대까지 내려왔는데요. 현재 주가는 162,200원입니다.
52주 최고가는 349,500원, 최저가는 127,900원까지 내려온 바 있습니다.
6. 이브이첨단소재 (전고체 배터리 관련주)
동사는 전장용 연성회로기판(FPCB)를 주력으로 연성 및 기타 인쇄회로 기판을 제조 및 공급하고 있습니다.
- 이브이첨단소재는 신성장동력 사업의 일환으로 국내 최초로 대만 전고체 배터리회사인 프롤로지움에 850만 달러(101억 원)를 투자하며 전고체 배터리 관련주로 편입되었습니다.
- 이브이첨단소재가 투자한 프롤로지움은 세계 최초로 전고체 배터리 제품인 리튬 세라믹 배터리(LLCB)를 인터배터리 유럽에서 공개한 바 있습니다.
- 프랑스 북부 덩케르트에 설립 될 프롤로지움의 전고체 배터리 생산 공장 기가팩토리는 52억 유로(약 7.5조)가 투자를 받아 2026년 가동 시작, 2031년에는 연간 약 75만대 차량에 공급할 수 있는 60GWh 규모의 생산량을 갖출 예정입니다.
- 이브이첨단소재는 최근 중국 E사로부터 국내 A사와 함께 배터리급 수산화리튬 40톤을 확보해 국내 C사와 E사 등에 공급할 예정으로 알려졌습니다.
- 산업통상자원부가 주관하는 국책과제인 전기차 배터리 모듈용 유연센싱케이블의 대면적 라미네이팅 제조시스템 개발 과제에 참여하여 전기차용 배터리 유연센싱케이블을 개발 중입니다.
이브이첨단소재 실적
2021년 | 2022년 | ||
---|---|---|---|
매출액 | 635억 원 | 581억 원 | ⬇️ -8.6% |
영업이익 | 23억 원 | -29억 원 | 적자 전환 |
당기순이익 | -93억 원 | -107억 원 | 적자 지속 |
2022년도 기준 매출액은 581억 원으로 -8.6% 감소, 영업이익은 전년도 23억 원에서 -29억 원으로 적자 전환하였습니다. 2023년 1Q 실적 공개에 따르면 매출액은 166억 원, 영업이익 2억 원, 당기순익 8억 원을 기록했습니다.
LG계열사의 매출 의존도가 높아 안정적일 수 있으나 영업강화, 시제품 개발 등으로 대응하며 신규고객사 매출 비중을 증대시키고 있습니다.
이브이첨단소재 주가
이브이첨단소재 주가는 전 거래일 대비 4.98% 오른 3,265원에 거래 마감했습니다.
250일 최고 변동폭은 17,780원~1,550원 사이를 오가고 있습니다.
7. 테이팩스 (전고체 배터리 수혜주)
동사는 전자소재용 테이프 시장에 진출하며 2차전지, 디스플레이, 반도체까지 사업영역을 확대했습니다.
- 테이팩스는 접착형 집전체용 열압착 부착형 점착소재 개발에 성공하여 고체전해질 특허를 취득하며 전고체 배터리 수혜주로 분류되었습니다.
- 테이팩스의 주요 제품으로는 2차전지용 테이프, OCA 필름, 반도체 보호용 테이프 등 다양한 제품군을 다루고 있습니다.
- 전고체 전지 국책 과제인 ‘대형 전고체 리튬이차전지용 유무기 하이브리드 고체전해질’ 관련 연구에 LG화학, ETRI 등과 함께 참여한 바 있습니다.
테이팩스 실적
테이팩스 실적은 2018년부터 조금씩 꾸준히 증가하고 있습니다. 매출 비중은 전자재료가 62%를 차지하며 다음으로 유니랩이 20.2%를 차지하고 있는데요.
매출액은 2018년 1,085억에서 2022년 1,823억으로, 영업이익은 2018년 75억 원에서 2022년 255억까지 성장했습니다.
2023년 추정치로는 매출액 1,922억, 영업이익 263억으로 예상되는 것으로 알려졌는데요. 2023년 1Q 실적은 매출액 363억 원, 영업이익 30억 원, 당기순이익 23억으로 집계되었습니다.
테이팩스 주가
테이팩스 주가는 55,900원 이후 하락세를 보이다 최근 급등하며 25,250원 대까지 회복했는데요.
52주 최고가는 65,500원이며 최저가는 21,700원 입니다.
외보율 9.93%로 EPS 1,708원, PER 14.78배, 업종PER 11.16배로 나타납니다.
8. 씨아이에스 (전고체 배터리 테마주)
씨아이에스는 리튬 이차전지 생산용 전극 제조 장비를 제작하며 이차전지 전 공정을 생산하고 있습니다.
- 씨아이에스는 고체 전해질 생산라인을 구축하며 전고체배터리 테마주로 주목받고 있습니다.
- 한국전자기술연구원(KETI)가 개발한 황화물계 고체 전해질의 대기안전성 및 이온전도도 개선 기술을 상용화하기 위해 씨에스아이와 기술 이전 협약을 체결했습니다.
- 해당 기술은 기존 황화물계 고체 전해질을 적용한 전고체배터리의 황화수소가스 발생과 열화로 전지 성능 저하되는 점을 개선한 기술로 고이온 전도가 가능하며 황화수소 가스 발생량을 1/4로 줄인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 전고체 소재 생산 자회사 씨아이 솔리드를 흡수 합병하며 나뉘어 있던 전해질 생산 파일럿 라인을 합쳐 생산을 준비 중입니다.
씨아이에스 주가
씨아이에스는 최근 씨아이솔리드 합병 소식에 25.57%의 주가 급등을 보이며 상승세를 보여주며 현재 주가는 13,680원에 종가 형성 되어 있습니다.
상세지표는 EPS 189원, PER 72.41배, 업종PER 75.68배로 나타납니다.
한 달 | ⬆️ 24.36% |
3개월 | ⬆️ 20.42% |
6개월 | ⬆️ 29.55% |
1년 | ⬆️ 28.93% |
씨아이에스는 대체로 20%대 후반의 수익률을 보여주고 있는데요. 6개월, 1년 간의 수익률이 가장 높은 편입니다.
9. 한농화성 (전고체 배터리 테마주)
한농화성은 GE파트를 주축으로 클리콜에테르, 유화제(계면활성제) 등을 공급하고 있습니다.
- 한농화성은 전고체 배터리의 고분자 전해질 핵심소재인 가소제와 가교제를 개발하며 전고체 배터리 테마주로 묶였습니다.
- 정부 주관 국책과제 ‘리튬금속고분자전지용 전고상 고분자 전해질 소재 합성 기술과 상용화 기술 개발’에 주관 기업으로 선정되어 한국화학연구원과 LG화학과 함께 관련 연구를 수행한 바 있습니다.
한농화성 주가 전망
한농화성 주가는 최근 상승세를 보이다 전일 대비 4.03% 하락한 22,600원에 거래 되고 있습니다.
29.88%의 주가 급등 배경에는 전고체 배터리 테마가 주목으며 전고상 고분자 전해질 기술 개발 주관기업 선정 이력이 부각된 것으로 풀이됩니다.
10. 아바코 (전고체 배터리 관련주)
동사는 LCD 사업부문에서 이차전지, MLCC장비로 사업을 다각화하여 전개하고 있습니다.
- 아바코는 전고체 이차전지 고체전해질을 고속으로 증착시키는 공정 및 장비를 개발하며 전고체 배터리 관련주로 부각되고 있습니다.
- 최근 2차전지 공정에 필수 장비인 롤프레스의 신규 공장 완공 후 생산에 돌입하여 내년 매출액에 반영될 전망입니다.
- 이차전지 공정에 필수 장비 중 하나인 롤프레스 장비 개발, 테스트를 완료하여 수주에 나서면서 연간 2500억 원의 매출이 추가 발생할 것으로 전망되고 있습니다.
- 제너럴모터스(GM)과 G에너지 솔루션 합작사(JV)인 얼티움셀즈가 미국에 건설하고 있는 2차전지 공장에 장비를 납품하고 있습니다.
아바코 매출
전용기부문 | 38.8% |
기타 장비 | 25.9% |
진공부문 | 17% |
컨버팅머신 | 14.4% |
반송부문 | 3.9% |
현재 매출 비중은 전용기 부문에서 38.8% 발생하고 있으며 다음으로 기타 장비에서 25.9% 발생하고 있습니다.
11. 요약 및 개인적인 의견
전고체 배터리 관련주에 대해 알아보았습니다. 전고체 배터리는 성능과 안정성에도 불구하고 전고체 배터리의 주요 소재가 금속인 만큼 핵심은 가격 경쟁력일 것으로 보입니다.
전고체 배터리 관련주의 경우 중장기 성장성이 높게 평가되고 있는 종목인 만큼 관련 뉴스 체크하며 꼼꼼히 알아보시기 바랍니다.
*위 글은 개인적인 의견으로 종목을 추천하지 않습니다. 모든 투자의 책임은 투자자 본인에게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