요소수 대란이 시작되며 요소수 품귀 현상이 일어나고 있습니다. 중국이 요소 수출을 막으며 요소수 관련주가 영향을 받은 것으로 보이는데요.
이미 올해 중순 요소 가격이 50% 급등한 사례가 있죠. 요소수는 2년 전에 이어 한번씩 품귀현상을 빚게 되는 것 같습니다.
한편 우리나라 환경부에서는 차량용 요소수 재고량이 충분하며 이달에도 수입 계획이 있어 문제 없다고 설명한 바 있는데요.
요소수 관련주에 대해 알아보기에 앞서 정부의 안내에도 관련 주가가 출렁거리고 있는 만큼 테마 열기에 주의하여야겠습니다.
함께 살펴보는 테마주 BEST 3 🔍
롯데정밀화학 (요소수 관련주)
주력 제품군으로 메셀로스, 헤셀로스 등의 정밀화학 제품과 가성소다, 염화메탄 등의 일반화학제품, 전자재료제품 등을 제조하고 있습니다.
- 롯데정밀화학에서 생산하는 요소수 브랜드 ‘유록스’를 보유하고 있어 요소수 관련주이자 요소수 대장주로 주목받고 있습니다.
- ‘유록스’ 브랜드는 15년 간 판매 1위로 50%의 높은 시장점유율을 차지하고 있습니다.
- 벤츠, BMW, 볼보, 현대기아 등 글로벌 자동차 기업에 순정 요소수로 납품하고 있습니다.
- HMM과 탄소 중립을 위한 암모니아 해상운송 MOU를 체결한 바 있습니다.
롯데정밀화학 주가
롯데정밀화학 주가는 현재 58,100원대로 거래되고 있습니다. 차트내 최저가 52,900원에서 우상향 하다 최고가 71,600원 고점 이후 하락세를 보이고 있는데요.
250일 최고가는 71,600원, 250일 최저가는 51,800원입니다.
투자지표 살펴보면 외보율은 21.07%로 EPS 5.665원, PER 10.25배, 업종PER 12.02배입니다.
롯데정밀화학 목표주가는 86,000원이며 배당수익률은 6.02%, 배당성향 61%로 1주당 배당금은 3,500원입니다.
KG케미칼 (요소수 대장주)
동사는 감수제, 유지제 등의 건설소재 사업과 친환경 유기질비료, 천연성분 작물보호제 등 비료, 생명농업사업을 전개하고 있습니다.
- KG케미칼은 브랜드 ‘녹스-K’로 친환경 요소수를 판매, 가장 먼저 반응하며 요소수 대장주로 부각되고 있습니다.
- ‘녹스-k’의 경우 쌍용차(KG모빌리티)에 납품하고 있으며 전국 에쓰오일 주유소에서 판매 중입니다.
- 이며 롯데정밀화학과 함께 요소수 시장을 80% 이상 점유하고 있어 요소수 대란 사태 때마다 대장주로 꼽히며 수혜받고 있는 종목입니다.
- 최근 그린랩스와 스마트팜 사업 MOU를 체결한 바 있습니다.
KG케미칼 주가
KG케미칼 주가는 5,550원 저점에서 시작하며 13,200원에 고점을 찍은 후 하락한 모습입니다. 평균 거래량이 높은편으로 235.57만 정도 되네요.
52주 최고가 66,100원 대비 -86.52% 하락, 52주 최저가 대비 +22.39% 상승한 8,910원에 종가 형성되어 있습니다.
EPS는 4,378원, PER 1.78배, 업종PER 0.68배로 배당수익률은 1.28%입니다.
유니온머티리얼
세라믹을 이용한 절삭공구, 산업용 세라믹스와 페라이트 마그네트를 주요 제품으로 생산하고 있습니다.
- 유니온머티리얼의 최대주주인 유니온이 요소수 5대 브랜드인 불스원의 지분을 2대 주주로 10.2% 가량 보유(2021년 기준)하고 있어 요소수 관련주로 부각되었습니다.
- 매출 구성 비율은 페라이트에서 64.1%의 과반수 이상의 매출이 발생하고 있으며 다음으로 세라믹에서 35.9% 발생하고 있습니다.
- 페라이트의 경우 삼성, LG 뿐만 아니라 보쉬, 브로제, 발레오와 같은 글로벌 정장업체들에 납품하고 있습니다.
- 주요 주주는 유니온이 최대주주로서 지분 40%를 확보하고 있으며 다음으로 대원지에스아이(외 2인)이 11.9%, 한국증권금융이 5.7%를 보유하고 있습니다.
유니온머티리얼 실적
유니온머티리얼 실적은 3년 연속 매출액이 증가한 모습입니다. 영업이익의 경우 2021년에 -8억 적자에서 2022년 흑자 전환에 성공했지만 반면에 당기순익의 경우 2022년도에 적자전환하였습니다.
부채비율은 143.57로 나쁘지 않네요. 유보율은 299.84로 3년간 290~300 사이를 유지 중입니다.
EPS -5, PER -480.59이며 주당배당금은 2021년, 2022년 모두 동일하게 35원을 지급했습니다.
지엔씨에너지
동사는 비상발전기, 소형열병합발전설비와 같은 비상 및 상용 발전사업, 열병학 발전사업바이오가스발전사업 등의 사업부문으로 운영중입니다.
- 지엔씨에너지는 ‘음폐수’가 요소수를 대체할 수 있다는 의견이 나오면서 음폐수 바이오가스 관련 사업이 부각되며 요소수 관련주로 묶였습니다.
- 특히 소각 시설에서 음폐수 활용 시 질소산화물 최대 82% 저감효과를 가질 것으로 보고되었습니다.
- 지엔원에너지를 매각하고 연료전지 사업을 분할하여 석문그린에너지를 신설한 바 있습니다.
매출 구성
지엔씨에너지의 매출 1위 분야는 주택 및 일반건축물로 54.7% 과반수 이상이 발생되었습니다. 2위는 기타 항목에서 19.4%, 3위는 IDC 및 알엔디센터에서 16.9%입니다. 다음으로는 차례대로 발전소 및 플랜트가 6.5%, 대형복합쇼핑몰이 2.5%를 차지했습니다.
TKG휴켐스 (요소수 관련주)
폴리우레탄 중간소재인 DNT, MNB를 NT제품으로 생산하며 주력제품으로 판매하고 있습니다.
- TKG휴켐스는 요소수 생산부지를 여수 제2공장에서 현재 운영하고 있어 요소수 관련주로 편입되었습니다.
- 수요 증가에 따른 선제적 대응으로 여수국가산단 내 희질산 40만톤, MNB 30만톤 규모의 생산 공장을 증설했습니다.
- 노르웨이 업체인 버겐카본솔루션즈와 MOU를 체결하며 한국에 1만톤 카파 규모의 도전재용 탄소나노튜브 공장 설립을 추진하고 있습니다.
- 한국바스프, 한화솔루션, 금호미쓰이화학 등과 장기 공급 계약을 체결하며 질산, DNT, MNB 등을 납품하고 있습니다.
매출 구성
TKG휴켐스 매출 1위는 NT계열로 56.8%의 매출비중을 차지하고 있습니다. 다음으로 NA계열에서 39.6%의 매출이 발생하고 있습니다.
주주 현황
주요주주는 티케이지태광(외 2인)이 43.4% 지분을 보유하고 있으며 다음으로 농협경제지주(외 2인)과 국민연금공단이 8.4%, 8.1%를 각각 보유 중입니다.
특징
원재료 가격이 잡히며 전년 대비 수익성이 개선되고 있습니다. 꾸준한 환경설비 투자를 진행 중이며 국내 1위 질산 업체로서 전남 여수에 14개의 생산시설로 연 230만톤의 생산력을 보유하고 있습니다.
요소수 종목 시가총액 순위
1 | 롯데정밀화학 | 1.5조 |
---|---|---|
2 | TKG휴켐스 | 8,768억 |
3 | KG케미칼 | 5,792억 |
4 | 유니온머티리얼 | 1,441억 |
5 | 지엔씨에너지 | 748억 |
*해당글은 참고용으로 이를 근거로 한 투자에 대한 책임은 없으며 모든 투자의 책임은 투자자 본인에게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