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만치료제 관련주 TOP10+ 대장주 총정리

비만치료제 관련주는 당뇨병 치료 목적으로 개발됐지만 체중 감량에도 효과가 있는 위고비로 인해 주목받게 되었습니다. 위고비를 개발한 덴마크 제약사 노보 노디스크는 루이비통모에헤네시를 제치며 유럽 증시 시가총액 1위를 차지한 바 있는데요.

위고비, 젭바운드 열풍으로 주목받기 시작하며 비만 인구가 전세계적으로 증가함에 따라 관련 시장은 점차 확대될 것으로 예측되고 있습니다.

비만치료제 관련주 HLB제약, 나이벡, 일동제약, 인벤티지랩 등 대장주까지 자세하게 알아보겠습니다.

뎅기열 관련주 배너
조류인플루엔자-관련주-배너
stss-관련주-배너

1. HLB제약 (비만치료제 관련주)

의사 처방에 의해 구입할 수 있는 전문의약품과 일반의약품 등 연구 및 개발하고 있습니다.

비만치료제-관련주-유튜브1
  • HLB제약은 장기 지속형 주사제 플랫폼 기술을 개발하며 비만치료제 관련주로 분류되었습니다.
  • 해당 주사제 플랫폼 기술은 ‘SMEB’으로 휴메딕스에 기술 이전을 완료했습니다.
  • 항응고제 ‘아픽사반’ 기반의 장기지속형 주사제(HP-P024)로는 세계 최초로 국내 1상이 진행 중인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 HLB제약이 글로벌 특허권을 보유한 항암신약 리보세라닙이 미국 FDA 허가를 앞두고 있으며 중국 항서제약의 캄렐리주맙의 병용 요법에 대한 폐암 유효성을 입증된 바 있습니다.

HLB제약 주가

비만치료제-관련주-HBL제약-주가

HLB제약 주가는 리보세라닙의 FDA 허가 신청 소식으로 52주 최고가를 갱신한 후 15,400원까지 올랐습니다. 최근 리보세라닙 바이오시밀러 승인을 앞두고 연일 주가 강세를 보이고 있습니다.


2. 한미약품 (비만치료제 대장주)

완제 의약품 제조업을 영위 중이며 한미정밀화학, 북경한미약품유한공사 등을 자회사로 두고 있습니다.

수소 관련주 유튜브7
  • ‘에페글레나타이드’를 비만 치료제 타깃으로 변경해 개발소식을 알린 한미약품이 비만치료제 대장주로 주목받고 있습니다.
  • 당뇨병 신약으로 개발 중이던 ‘에페글레나타이드’는 임상 1상과 2상을 통과하며 2026년 상용화 목표로 임상 3상이 진행 중입니다.
  • 한미약품은 비만 치료제 개발 조직을 편성하며 GLP 계열 후보 물질을 다양하게 확보하며 경구용 제품뿐만 아니라 4개 이상의 관련 제품 출시를 목표로 임상을 추진 중인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 대략적으로 <기존 제품 대비 지방 감소 효과가 높은 제품, 근육량 감소를 막아주는 제품, 체중 감소와 근육량 증가가 동시에 효과적인 제품> 등이 있습니다.
  • 한미약품의’ 에페글레나타이드’는 170만 원 상당의 위고비나 젭바운드 대비 경쟁력 있는 가격대의 비만약으로 출시될 전망입니다.

한미약품 주가

비만치료제-대장주-한미약품-주가

한미약품 주가는 등락폭이 10만원 가까이 차이가 나며 변동성이 심한 모습입니다.

약 6개월간 차트를 살펴보면 단기간임에도 최저 24,5000원에서 급등 후 다시 26만 원대로 떨어졌다 34만 원대 고점을 찍는 등 변동성이 큰데요. 최근 종가는 많이 하락하여 281,500원 대로 형성되어 있습니다.

투자 지표를 살펴보면 EPS6,591, PER 43.32, 업종PER 44.63배 입니다. 얼마 전 찍은 340,000원이 52주 최고가였으며, 52주 최저가는 223,500원입니다. 배당수익률은 0.17% 정도 됩니다

한미약품 실적

202020212022
매출액1.1조1.2조1.3조
영업이익490억1,254억1,581억
당기순이익173억815억1,016억

2020년 매출액 1.1조에서 2022년 1.3조를 기록하며 2023년에는 1.5조로 추정되고 있습니다. 영업이익 또한 2020년 490억에서 2022년 1,581억, 2023년 2,007억을 기록하며 외형성장을 이루고 있습니다.


3. 일동제약 (비만치료제 관련주)

의약품 원료 및 의약품, 보조식품, 특수영양식품을 제조 및 판매하는 국내 제약사입니다.

ess-관련주-서진시스템-유튜브3
  • 일동제약이 개발중인 먹는 ‘GLP-1 수용체 작용제’가 식약처에서 임상 1상 소식이 전해지며 비만치료제 관련주로 편입되었습니다.
  • 일동제약의 ‘GLP-1 수용체 작용제’는 GLP-1 호르몬과 동일한 효과를 가질 것으로 보이며 경구용 비만치료제로 개발되고 있습니다.
  • GLP-1은 인슐린 분비를 증가시켜 혈당을 낮춰주며 포도당 흡수를 늦추는 등 포만감을 느끼게 해주는 물질로 알려져 있습니다.
  • 대표 의약품으로는 활성비타민 아로나민류, 항생제 후루마린 등이 있습니다.

일동제약 주가

비만치료제-관련주-일동제약-주가

일동제약 주가는 비만치료제 관련주 영향을 비교적 늦게 받아 뒤늦은 상승을 보여주고 있습니다. 하락세를 이어가다 경구용 비만치료제 소식이 전해지며 주가가 급상승 하였는데요.

이전까지 종가 15,880원 대를 전전하다 20,600원대로 주가가 급상승 하며 거래량 또한 상당히 오른 모습입니다.

일동제약 현재 주가는 따로 체크해주셔야 합니다. 52주 최저가 14,380원, 52주 최고가 47,200원으로 외국인 보유비중은 5%가량 됩니다. EPS는 -5,282이니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4. 인벤티지랩

마이크로플루이딕 기술을 적용하여 장기지속형 주사제 개발 등 약물전달 플랫폼, 제품을 제조하고 있습니다.

  • 인벤티지랩의 비만치료제가 한 달 동안 체내 지속 효과가 입증되며 비만치료제 관련주로 부각되고 있습니다.
  • 인벤티지랩의 ‘IVL3021’이 전임상 단계에서 한 달간 지속되는 효과가 입증되며 주 1회 투여하는 위고비와 달리 한 달에 1번 투여하며 경쟁력을 갖출 것으로 보입니다.
  • ‘1개월 지속형 주사제’의 경우 국내 탑티어 제약사와 텀싯(Binding Term-sheet)에 합의하며 라이센싱 계약 진행 소식이 알려진 바 있습니다.
  • ‘IVL3021’은 세마글루타이드에 인벤티지랩 자체 플랫폼을 적용한 것으로 ‘IVL3005’은 두 달 지속 효과를 목표로 개발 중인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 인벤티지랩은 유한양행과 비만치료제 ‘장기 지속형 주사제’에 대한 공동 개발 파트너십을 체결한 바 있습니다.

인벤티지랩 주가

비만치료제-인벤티지랩-주가전망

인벤티지랩 주가 차트입니다. 비만치료제 주가 영향으로 보름새 주가가 80% 가까이 뛰며 급격히 상승한 바 있는데요. 기존 52주 최고가를 갈아 치우고 29,750원 달성하며 고점 찍은 후 전일 대비 2,400원 상승한 25,350원에 거래 되고 있습니다.

투자 지표를 살펴보면 외국인 보유 비중은 0.98%로 EPS -1,457입니다. 250일 최고가는 29,750원, 최저가는 8,440원입니다.

5. 한국비엔씨 (비만치료제 관련주)

동사는 필러, 창상피복재 등 수술 및 시술용 의료기기를 개발하고 있습니다.

  • 한국비엔씨는 프로앱텍과 함께 GLP-1 작용제(PAT 201) 타겟의 비만치료제 공동연구 개발 상용화 계약을 체결하며 비만치료제 관련주에 편입되었습니다.
  • 프로앱텍에 20억 원의 전략적 지분 투자 시행, 프로앱텍이 보유 신약 물질 PAP101, PAP301 등 독점 판권 라이센싱 계약을 함께 체결한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 이외에도 SML바이오팜과 mRNA 기술을 활용해 비만치료제 GLP-1 작용제 공동연구 개발을 체결한 바 있습니다.
  • 100억 원 규모의 ABC랩의 메조테라피 필러 6종의 위탁생산 계약을 맺은 바 있습니다.
  • 160억 원에 에스테틱 회사 지티웰니스 인수 추진 소식이 알려졌습니다.

한국비엔씨 주가

비만치료제-관련주-한국비엔씨-주가

한국비엔씨 주가는 52주 신고가를 갱신하며 장중 5,330원까지 치솟았습니다. 52주 최고가 5,330원으로 52주 최저가는 2,865원입니다.

한 달+25.14%
3개월+34.96%
6개월+6.43%
1년+2.36%

6. 동아에스티 (비만치료제 관련주)

바이오, 자가개발, 도입 의약품 등 의약품 연구개발 및 제조 사업을 영위하고 있습니다.

  • 동아에스티가 뉴로보 파마슈티컬스를 통해 비만치료제 ‘DA-1726’ 개발하며 비만치료제 관련주로 편입되었습니다.
  • 미국 자회사 뉴로보 파마슈티컬스는 ‘DA-1726’에 대해 미국FDA에 글로벌 임상 1상을 신청했습니다.
  • 옥신토모듈린 유사체 계열인 ‘DA-1726’에너지 대사량을 증가시켜 식욕 억제 및 혈당 조절을 유도하며 체중 감소에 효과가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 뉴로보 파마슈티컬스는 나스닥 상장된 미국 회사로 자회사로 편입하여 미국 진출에 용이할 것으로 보입니다.

동아에스티 주가

비만치료제-관련주-동아에스티-주가전망

동아에스티 주가는 48,700원으로 저점 찍은 후 급등하더니 이평선을 돌파하며 장대양봉을 세웠습니다.

73,700원까지 올랐다가 현재 62,400원 대로 거래되고 있네요. 이때 찍은 장대양봉이 52주 최고가를 차지했는데요. 52주 최저가는 47,100원입니다.

투자지표 사항은 외인보율 21.21%, EPS 1,573, PER 39.67배, 업종 PER 44.63배로 배당수익률은 1.10%이니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주가수익률은 34.97%, 배당수익률은 1.10%이니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동아에스티 실적

경구용-비만치료제-동아제약-실적-재무제표
(credit : 네이버)

동아에스티 매출액은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는데요. 영업이익은 감소→증가, 당기순이익은 2년 연속 감소했습니다.

2023년 추정치에서는 매출액은 소폭 감소했지만 영업이익과 당기순이익에서 모두 증가할 것으로 예상됩니다.

부채비율 67% 대비 유보율은 1.175%로 비교적 안정적인 재무 상태를 보이고 있습니다.


7. 시너지이노베이션

제약회사나 병원에서 미생물 오염 측정 및 감염증 진단에 사용되는 미생물 배양배지를 제조하고 있습니다.

SOFC-관련주-유튜브8
  • 뉴로바이오젠이 개발한 비만치료제 ‘KDS2010’네이처 메타볼리즘에 게재되며 뉴로바이오젠 CB에 투자한 시너지이노베이션이 비만치료제 관련주로 묶였습니다.
  • 시너지이노베이션이 뉴로바이오젠 전환사채(CB)에 투자하며 이를 보통주로 전환 시 최대주주가 될 수 있습니다.
  • ‘KDS2010’은 글로벌 빅파마와 기술이전이 논의되고 있으며 임상 1상을 진행 중입니다.
  • 비만치료제 뿐만 아니라 치매 치료제로 적응증을 확대하기 위한 임상 2상을 준비 중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시너지이노베이션 주가

비만치료제-관련주-시너지이노베이션-주가-차트

시너지이노베이션 주가 급등하며 최근 상한가까지 달성하여 4,450원까지 올랐습니다. 현재는 그보다 떨어진 3,790원 대에 종가를 형성하고 있는데요. 뉴로바이오젠 관련 소식에 주가가 반응한 것으로 풀이됩니다.

주요 주주로는 시너지파트너스 외 3인이 41.4%를 보유하고 있으며 외보율은 12.14%입니다.

EPS 195, PER 19.44배, 업종PER 78.67배이니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8. 펩트론

동사는 펩타이드 공학 기술을 바탕으로 펩타이드 합성 기술 개발 및 신물질 발굴 등 펩타이드 기반의 첨단기초소재를 제조 및 판매하고 있습니다.

  • 펩트론은 비만 치료제 GLP-1을 개발하고 있어 비만치료제 관련주로 부각되고 있습니다.
  • 주사형 비만치료제인 삭센다를 1주 지속형 제제로의 개발 관련 기술 특허를 출원한 바 있습니다.
  • 글로벌 비만, 당뇨치료제인 PT404에 대해서는 물질이전계약을 맺으며 기술이전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보입니다.
  • PT403과 PT404는 1개월 지속형 치료제로 혈당을 감소시키고 식욕 억제 효과가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 전립선암, 말단비대증, 퇴행성 신경질환 치료제 등 다양한 파이프라인을 보유 중입니다.

펩트론 실적

20212022
매출액66억58억
영업이익-157억-152억
당기순익-150억-151억

펩트론 실적은 매출액의 경우 소폭 감소, 영업이익과 당기순이익은 2022년 기준 전년도와 비슷한 수준입니다.

펩트론 부채율은 2022년 기준 28.56%로 2020년 대비 50% 가까이 감소했지만 유보율은 345%로 2020년 634%에서 크게 감소했습니다.

펩트론 매출 구성

CDMO40.8%
펩타이드 소재34%
전문의약품25.2%

매출 구성은 CDMO가 40.8%로 가장 높은 비중을 차지하며 펩타이드 소재가 34%, 전문의약품이 25.2%를 차지하고 있습니다.


9. 라파스

동사는 용해성 마이크로니들 기술을 이용하여 패치 연구개발 및 제조사업을 영위하고 있습니다.

  • 라파스는 대원제약이과 함께 비만치료 주사를 패치 방식으로 ‘마이크로니들 패치’를 개발하며 비만치료제 관련주로 묶였습니다.
  • 노보노디스크의 비만치료 주사 오젬픽을 패치 방식으로 개발한 것으로, 패치의 니들 부분에 ‘세마글루타이드’ 성분을 탑재하는 패치 형식으로 개발될 예정입니다.
  • 노보노디스크가 특허를 보유하고 있는 ‘세마글루타이드’는 2021년 미국 FDA로 부터 비만치료제로 승인받은 바 있으며 당뇨병과 비만 치료에 탁월하며 ‘오젬픽‘이라는 주사제 형태로 판매 중입니다.
  • 해당 패치를 몸에 부착하여 흡수시키기 때문에 높은 편리성일 지닐 것으로 보입니다.

라파스 실적

20212022
매출액203억236억
영업이익-20억-66억
당기순이익47억-86억

라파스 실적을 살펴보면 매출액 2021년 203억에서 2022년 236억 원으로 증가, 영업이익 -20억에서 -66억 원으로 적자 확대, 당기순이익 47억 원에서 -86억 원으로 적자 전환하였습니다.

매출액은 2020년 179억 원에서 점진적으로 증가 추세이나 영업이익은 적자 확대되었습니다.

특징

라파스는 화장품 관련주로도 움직이는데 미용패치, 항노화 패치 등 의료기기 분야에서의 조기 성과를 달성하며 일본, 캐나다, 인도, 러시아 등 4개국 특허를 등록한 바 있습니다.


10. 올릭스 (비만 치료제 관련주)

RNA간섭 플랫폼 기술을 바탕으로 기존 제품으로 치료하기 어려운 질환의 치료제를 개발하며 의학 연구개발을 진행하고 있습니다.

  • 올릭스의 ‘OLX702A’ 가 위고비와 병용시 10% 이상의 체중감소 효과가 알려지며 비만치료제 관련주로 묶였습니다.
  • 본래 ‘비알코올성지방간염치료제(NASH)’ 치료제였지만 체중감소 효과를 확인하고 비만치료제로 개발하기 위해 준비중인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 ‘OLX702A’ 는 GLP-1과 달리 대사량을 높임으로서 체중 감소 효과가 있는 만큼 추후 다른 제품과의 병용 투여 효과나 다이어트 유지에도 도움될 것으로 보입니다.
  • 올릭스의 파이프라인은 ‘OLX702A’ 외에도 탈모 치료제(OLX104C), 비대흉터(OLX101A), 건성 및 습성 환반변성(OLX301A) 등의 후보물질을 보유하고 있습니다.

올릭스 주가

비만치료제-관련주-올릭스-주가

올릭스 주가는 한차례 급등했으나 다시 하락하며 전일 대비 10.61% 상승한 15,840원 대에 거래되고 있습니다.

급등 배경에는 OLX702A의 전임상 결과 임박 소식이 전해진 것으로 풀이되고 있습니다.

52주 최고가 26,800원, 최저가 12,900원의 변동폭을 가지고 있는데요.


11. 나이벡 (비만치료제 관련주)

동사는 펩타이드를 기반으로 펩타이드 융합 바이오 소재, 조직재생용 바이오소재 등을 제품화하여 판매하고 있습니다.

  • 나이벡은 지방 축적을 억제하는 펩타이드 기반의 비만 치료제 특허를 확보하며 비만치료제 관련주에 편입되었습니다.
  • 펩타이드 기반의 ‘NP-201’은 임상 1상을 호주에서 완료했으며 섬유증뿐만 아니라 조직 재생, 지방 억제에도 효과적인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 ‘펩타이드 약물 경구전달 제형 플랫폼’ 기술을 확보한 만큼 먹는 경구형 비만치료제 개발을 진행 중인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 유럽의 S제약사 향 펩타이트 원료 공급이 예정되어 있으며 본격적으로 위탁개발생산 사업을 시작한 것으로 보입니다.

나이벡 실적

202020212022
매출액64136217
영업이익-30-216
당기순이익-36-57-38

나이벡 매출은 3년간 꾸준히 증가추세입니다. 영업이익 또한 흑자전환에 성공하며 당기순익의 경우도 2021년 대비 적자폭을 좁혀가고 있습니다.

나이벡 부채비율은 2020년 66.71%에서 2022년 104.36%까지 증가하였는데요. 유보율은 2021년 408.71%에서 2022년 557.75%까지 증가하였습니다.

특징

나이벡은 임플란트 관련주로도 영향을 받을 수 있습니다.


12. 개인적인 의견 및 정리

비만 치료제 시장 규모는 모건스탠리가 2030년 약 100조 원(770억 달러)를 넘어설 것으로 예측하며 며 급격히 성장 중입니다. 일론 머스크부터 헐리우드까지 애용하며 제약업계 전반적으로 개발이 한창인데요. 현재 주사제 형태가 많지만 장차 경구용 개발이 심화될 것으로 보입니다.

비만치료제 대장주는 현재 한미약품으로 보이지만 시장, 기술 동향에 따라 시시각각 변하니 좋은 움직임을 보이는 종목으로 판단하시기 바랍니다.

*해당 글은 개인적인 의견으로 투자, 종목을 추천하지 않습니다. 모든 투자는 투자자 본인에게 있습니다.

수소-관련주-배너
테슬라-관련주-배너
hbm관련주_배너
error: Content is protected !!